Searching for my family in Russia

This is the last in our blog series dedicated to Searching in Intercountry Adoption. These individual stories are being shared from our 원근법 종이 that was also shared with our Webinar, Searching in Intercountry Adoption by Adoptee Experts

~에 의해 Raya Snow born in Russia, raised in Canada

I was born in the city of Ivanovo Oblast, Russia 1989. It is located North East of Moscow with a population of 361,641. After I was born, my mother and father moved to the Caucasus of Russia, Derbent. After I turned 3, my parents got divorced and my mother and I moved to Stavropol, North of the Caucuses. 

Eventually, my mother met another man and we started living together in a two bedroom apartment. He was a very abusive and narcissistic man who would abuse both my mother and myself. I believe my mother one day left him, leaving me in his care. Not being his blood relative, he shortly dropped me off to my mother’s great-aunt’s place. This is where my journey really unfolded. 

My great-great aunt ( Elvira), was a religious older woman whose life revolved around the church and God. We lived somewhat happily together, but I would always wonder about my mother and her whereabouts. Sometimes my mother would come to the house to see me, but those were always incredibly short visits. Due to her never being around, the neighbours started to question my health and education. Elvira then thought to start looking for a forever home for myself. 

I remember, she would advise me to be on my best behaviour, to listen well, in order for a family to take me or to buy me off of her. Being only about 5 years of age, I was very excited to be able to visit other families with children, play with them, and get to know them. Deep down in my heart, I knew that I wouldn’t be able to stay with them because some were far worse off than I was, living with my aunt. 

One day, there was a lady that came to the door, asking to speak to Elvira about a family from Canada wanting to adopt a little Russian girl. Elvira was so pleased about this news that she allowed the woman to take pictures of herself which she would then send to the family in Canada. The woman let us know there would be a man who would come in the following weeks to advise if the Canadian family was interested in the child, me. In the meantime, I was still going from home to home, to see if anyone showed any interest in purchasing me. 

A month or two later, there was another knock on our gate and as the lady mentioned, there was a man (George) who came to see Elvira and I. George brought us fruits and sweets which I would eat while the two were speaking intently. He let Elvira know that the Canadian family took an interest in me and was willing to pay a big sum in order to adopt me. She let him know the process would not be an easy one as all my documentation was lost in a car accident where both of my parents died tragically. 

According to her statement, I survived miraculously by the will of God. She then showed George the death certificate of my parents, leaving me, a little orphan in her will. George suggested we start the process by recreating new documents, stating my mother’s name and him as the biological father in my new birth certificate. 

Me, being this little girl, understanding that my mother will never return back to me, as she had left and I hadn’t seen her maybe for months, I felt a new adventure was about to unfold. George started coming by the house more often, gaining my trust and I his. We became great friends and I enjoyed having a “father figure” in my life. On the weekends, I would go over to his house and meet his wife and children, who took me in with open arms. 

A turning point was about to happen when Elvira spoke to our neighbours and let them know she was going to take the money and myself up West, to the Ural Mountains where the rest of our family resided. The neighbours were saddened by this news as I was a very malnourished little girl who needed attentive medical care, so they called George straight away and let him know the alarming news. George of course, called the potential family in Canada and let them know that they needed to save me and hide me while the rest of the documentation was being prepared. The Canadian family agreed and I was brought to a small city near Moscow, where the biological relatives of their family lived. There, I met my wonderful adoptive mom, with whom I gained an instantaneous attachment because of desperately wanting to feel loved and cared for. 

I believe I lived with the family in Moscow for about 6 months. While my documents were getting done, I started attending pre-school, spent time with relatives on the weekends, went to church on Sundays and welcomed a new package from my Canadian family every few weeks or so. 

It was sometime in June when George came back into my life again. This time, we were going to begin our travels to Canada. The process was a very tricky one, I had to learn to call him “dad” and he would call me “daughter”.  George let me know that we had to fake a bond, where authorities would not be able to question our relationship to one another. Our lives were at stake if any one of us did something questionable, I could be sent to an orphanage and he to prison. 

We first began our trip to Moscow, where we stayed at George’s blind father’s place for a few days before heading out on a Cargo ship to Turkey. I remember the ship well and I grew fond of the people in it. Once we reached Turkey, we took a flight to France which I don’t have any memories of, and from there we flew to Canada. 

Once we got off the flight, I could see in the hallway above me, there were many people waiting to greet their loved ones. My adoptive parents were one of those people, who were waiting with balloons and a cam-recorder for that very first hug. George and my adoptive mom ended up getting married and this “happy” ending lasted for a couple more years until George and my adoptive mom separated (finalised the divorce) and then she claimed full custody of me. 

Twenty-five years went by, I started on my search for my biological parents which I have found with great success. I had help through a friend of my adoptive mom who was able to help me find my biological mother on a Russian app. I have found my biological mother, who is still well and alive with a beautiful, big family who has been supporting her throughout the loss of her child, me. I have also reconnected with my biological father, whom I found through a Russian tv show and he had been at war in 1994 – 1996 between the Chechens and the Russians. After the war ended, he began his search for me, with no leading answers on my whereabouts or my biological mother from Elvira. 

This is a true story. It is a story of grief, loss, abandonment and also happiness. I would like to bring awareness that abduction happens, that childhood trafficking exists and it needs to be spoken about. Adoptees are lacking support in those areas as we are terrified to speak about our truths and what the truth might do to those surrounding us. 

This is a new era, a space to bring light to our journeys, to the eyes of our governments, our adopters, adoption organisations and our peers. Let’s start creating legal changes through advocacy and the support of our fellow adoptees! Together, let’s share our truths!

자원

국제 입양에서의 탐색과 재결합

입양인 전문가의 해외입양 검색

On April 23, ICAV will be providing a webinar on some of the complex issues involved in searching in various birth countries, but with specific knowledge of Colombia, Ethiopia, Haiti, Greece, Korea, and Sri Lanka.

Our webinar will be unique in that we are not only bringing our lived experience as individuals, but also presenting as a global resource, highlighting the adoptee led organisations who provide a formal search and support services. Our panelists hold the dual role of knowing intuitively how complex searching is as individuals having done their own searching and also having decades of experience in providing formal search and support services to the community.

ICAV knows intuitively what the latest 연구 (p231) conducted within the Korean adoptee community shows – i.e.,, that intercountry adoptees find their peers and adoptee led organisations to be the most helpful in their searches. There’s nothing better than those who live it knowing intuitively how to best provide the services we need as a community.

If you’d like to be part of our audience, click here to RSVP.

Our 8 panelists are:

마르시아 엥겔

Marcia is the creator and operator of 플랜엔젤, a nonprofit human rights foundation currently based in Amsterdam, Netherlands. Her organization has a powerful mission: helping Colombian families find their children who were lost to child trafficking and adoption.

For fifteen years now, Plan Angel has grown a strong community with over 1,000 families in Colombia. The foundation helps these families search for their missing adopted children all over the world, hoping to one day reconnect them with each other. Marcia and her foundation have reunited hundreds of families and continue to support them after their reunion.

Linda Carol Forrest Trotter

Linda is a Greek-born adoptee, adopted by American parents and found her biological family in Greece five and a half years ago. She is the founder and president of 에프티키아 프로젝트, a nonprofit organization that assists and supports, free of charge, Greek-born adoptees searching for their roots and Greek families searching for their children lost to adoption.

In addition to its Search and Reunion program, the Eftychia Project, in collaboration with the MyHeritage DNA company, distributes DNA kits for free to adoptees and Greek families. To date, The Eftychia Project has facilitated the reconnections of 19 adoptees with their Greek families.

The Eftychia Project also actively advocates on behalf of all Greek-born adoptees with the Greek government for their birth and identity rights, including transparency about their adoptions, unfettered access to their birth, orphanage and adoption records, and the restoration of their Greek citizenship.

케일라 커티스

Kayla is born in South Korea and adopted to South Australia. Kayla has been searching for her Korean birth family for over twenty years. She returned to Korea to do ‘on the ground’ searching using posters, newspapers, local police, and adoptee search organisations. In the absence of having a reunion with birth family, she has built a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her birth country and Korean culture and proudly identifies as Korean-Australian.  

In her professional life, Kayla works as a Senior Counsellor for the 국제 입양인 및 가족 지원 서비스(ICAFSS) at Relationships Australia.  

Kayla is a qualified Therapeutic Life Story Worker and has a Master’s in Social Work as well as extensive experience working in the area of adoption both in government and non-government, providing counselling, education and training, community development and post adoption support.  In this role, Kayla supports intercountry adoptees with searching and navigating this uncertain and complex process between countries, as well as offering therapeutic support to adoptees, on this journey. 

조나스 데지르

조나스

Jonas is a Haitian adoptee raised in Australia who has spent many years assisting his fellow Haitian adoptees to search for their families in Haiti. He was adopted from Haiti at 6 years old and eventually was able to find his mother in Haiti. Today he is happily married with children and works a lot to help mentor other younger adoptees and help adoptive families.

Benoît Vermeerbergen

Benoît was born in Villers-Semeuse, France under “Sous X”. This means that his parents and especially his mother did not want to be known or found. His birth certificate literally only shows X’s as parents’ names. Growing up Benoît had a lot of questions trying to understand all of this. After his studies, he purposely began working for the ‘Population Services’ in the hope of discovering more information about his birth mother. 

During this process and the years that followed, Benoît helped so many other people in their search (for example, trying to find their biological birth parents), that he made genealogical research his main source of income. It has always been and will always be his greatest passion in life! 

Genealogy and adoption therefore are his field of specialisation. In the past couple of years he has also started working in the field of ‘DNA’. In 2019, he found his biological mother through this method. Today, he cooperates with a lot of genealogical and adoption related authorities and helps to invent and build many adoption related platforms. Although Belgium is his home country, he also has experience in doing research abroad, i.e. Australia, Mexico, and The Netherlands.

Rebecca Payot

Rebecca is the founder of the association Racines Naissent des Ailes and co-founder of Emmaye Adoptee’s Family Reunion. Adopted in Ethiopia at the age of 5, Rebecca is a graduate in early childhood psychology specialising in adolescents in identity crisis. She has worked for 20 years in international adoption in France as a consultant and speaker on quest of origins. She is the author of her first book entitled “The Quest of Origins, a Miracle Remedy for the ills of the adopted?”

힐브란트 웨스트라

Hilbrand is a Korean adoptee raised in the Netherlands and has the longest track record, working with and for adoptees in the Netherlands since 1989. Internationally, his name is well known and disputed at the same time by the first generation of intercountry adoptees because he dared to oppose the Disney fairytale of adoption. He is also the first adoptee in the world to receive an official Royal decoration by the King of the Netherlands in 2015 and is Knighted in the Order of Orange Nassau for outstanding work for adoptees and in the field of adoption.

In daily life, Hilbrand runs his own school in systemic work and is a renowned teacher and trainer nationally and his work has sparked great interest in the UK. He spends time bridging the work in this field between the Netherlands and the UK. Hilbrand is a confidant and executive coach for leaders and directors in the Netherlands and also works partly with the Ministry of Defence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and Science.

Celin Fässler

Celin is adopted from Sri Lanka to Switzerland and is the Communications Manager and Board Member at 뿌리로 돌아가기. Back to the Roots is a Swiss NGO founded in 2018 by Sri Lankan adoptees. Its main goal is to raise awareness of the complex search for origins and to support adoptees in their searching process. Since May 2022, Back to the Roots has been funded by the Swiss government and the regional districts in order to provide professional support to adoptees from Sri Lanka to Switzerland.

Sarah Ramani Ineichen

Sarah is adopted from Sri Lankan to Switzerland and is the President of Back to the Roots and may present jointly with Celin in this webinar.

The webinar will be recorded and made available at ICAVs website.

If you have questions you’d like to see addressed in our webinar, please add your comments to this blog or 연락하다 us.

Huge thanks to the Australian Government, DSS for funding this event via our Relationships Australia, Small Grants & Bursaries program.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느낌

Michelle은 미국에서 가장 웅변적인 입양인 중 한 명입니다. 비디오 시리즈. 그녀는 도전에 대해 너무 개방적이고 정직하며 입양에서 가장 숨겨져 있는 주제, 즉 섭식 장애와 자살 시도, 그리고 그 기저에 깔려 있는 주제에 대해 말할 수 있는 그녀의 용기를 좋아합니다. 그리고 우리의 기원의 진실을 알아야 하고 소속될 장소를 찾기 위한 투쟁.

Michelle의 이미지를 클릭하면 그녀의 비디오를 들을 수 있습니다.

미셸

자원

Michelle의 다른 블로그 읽기: 어머니 그리고 문 대통령에게 보내는 편지.

입양 가족 및 섭식 장애 회복

국제 입양인의 섭식 장애 위험: 스웨덴 국민 등록부를 사용한 코호트 연구

입양 아동의 섭식 장애

나는 섭식 장애가 있습니까?

미국 입양 청소년과 청년의 섭식 장애 행동 증상: Add Health 조사 결과

아동기 외상과 섭식 장애 사이의 연관성

입양 및 섭식 장애: 고위험군?

섭식 장애에 기여할 수 있는 애착 문제

나의 입양인 여정

~에 의해 안나 그룬드스트롬, 인도네시아에서 스웨덴으로 채택되었습니다.

입양을 여행이 아니라 목적지로 생각했던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습니다. 나는 내가 끝나는 곳까지 갔고, 초기에는 그 이유에 대한 답이 결코 없을 것이라는 것이 분명했습니다. 내 질문은 뒷좌석으로 옮겨져 몇 년 동안 거기에 머물렀고, 내가 연결하지 못한 타기, 내 자신의 시작을 관찰했습니다.

약 2년 전쯤에 어떻게든 뒷좌석에서 운전석으로 옮겨 두 손을 핸들에 얹었다. 내 질문에 대한 답은 아직 없지만 여전히 질문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나는 묻는 것이 항상 그 대가로 오답이나 정답, 심지어 답을 얻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묻는 것은 나 자신, 내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인정하는 것에 관한 것입니다. 큰 소리로 놀라고, 화내고, 화내고, 좌절할 수 있도록 허락합니다. 물건, 장소 및 사람의 손실을 인식합니다. 그리고 때로는 답이 너무 미묘해서 거의 놓칠 뻔했습니다. 아침에 해가 처음 떠오를 때 눈물을 흘리는 것을 알아차리거나, 임의의 향기를 들이마실 때 특정한 갈망이 척추를 내려치는 것처럼 말입니다.

입양인으로서 과거의 상실을 인식하고, 이름을 지정하고, 구현하는 것에는 뭔가가 있습니다. 이유와 방법을 알지 못하더라도 말입니다. 우리 몸의 어딘가에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몸의 어딘가에 그것은 여전히 있습니다. 축하하고, 슬퍼하고, 받아들이는 것이 모두 제 입양인 여정의 일부입니다.

Anna는 입양인을 위한 Guided Movement 및 Creative 워크샵을 제공합니다. 그녀를 확인하십시오. 웹사이트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보려면!

채택 시 많은 손실

~에 의해 마르스, 필리핀에서 캐나다로 가져왔습니다. Maars @BlackSheepMaars를 팔로우할 수 있습니다.

저는 지난 3.5년 동안 제 뿌리를 연구해 왔습니다. 처음 이 여행을 시작했을 때, 나는 장소와 이름을 제공한 순간에 대한 낙서밖에 없었습니다. 주로 내가 자라면서 가족들이 나와 내가 가족이 된 것에 대해 이야기할 때 우연히 들은 것들입니다. 확인되지 않은 정보가 많았고 대부분은 추측이고 꾸며낸 이야기였다.

나는 소파에 앉아서 내가 말한 것, 언급된 것, 험담한 것, 나에게 비명을 지른 것에 대한 모든 기억을 머릿속에 적었습니다.

이 여행을 시작하기 위한 실제 정보가 없었고, 정보를 요청하고 여기저기서 질문을 던졌을 때도 마찬가지였습니다. 특별히 말하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습니다. 발견하고 싶지 않은 비밀처럼 느껴졌다. 하지만 어쨌든 계속 갔고, 첫해에는 미국에 사는 한 여성을 친어머니로 착각하기까지 하면서 많은 것을 얻었습니다.

나는 실질적인 가시적 기대, 방향, 또는 이 여정이 어디에서 끝날지 전혀 알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친어머니를 찾은 후 제 목표는 단 하나였습니다. 우리의 작은 가족을 하나로 묶고 첫 두 자녀를 포기해야 했던 생모의 상한 마음을 치유하기 위해.

나는 내 친동생을 찾고 싶었습니다. 그래야 최소한 그녀가 이번 생을 떠나기 전에 자신의 죄책감과 수치심을 치유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나는 그것을 할 수 없었다. 나는 너무 늦었고 그녀가 지나간 후 5개월이 지나도록 그를 찾지 못했습니다.

외동딸로 자라면서, 세상에 혼자라는 느낌, 나와 같은 종류의 외계인, 내 뿌리, 유산, 조상의 전통 – 내가 만든 모든 것, 이 행성에 단 한 사람만 남게 될 것입니다. 입양으로 인해 나와 같은 상처를 공유한다. 그러나 우리 삶의 입양이라는 트라우마는 결국 우리를 두 번째로 다시 헤어지게 만들 것입니다.

채택 시 손실이 너무 많습니다!

나는 여전히 내 부계 쪽을 통해 일하려고 노력하고, 단서가 무엇이든 희망하지만 피할 수 없는 것은 존재조차 알지 못했던 누군가/무언가를 찾는 것입니다. 탐험하는 위업입니다.

#adoptee #adopted #adoption #reunion #searching #familyresearch #biologyresearch #ancestry #mystory #myjourney #mysearch #biologymatters

난 헤드라이트에 갇힌 사슴 같아

~에 의해 크렘0076, 미국에서 자란 한인 국제 입양인.

Krem0076 어린 시절

저는 비공개 국제 입양의 입양인입니다. 나는 문서 작업을 가지고 있지만 우리 중 많은 사람들에게 우리 문서 작업은 종종 실수, 거짓말 및 불일치로 가득 차 있습니다. 그것은 도전입니다. 내 정보가 정확합니까? 내 본명은? 내 생일? 내 기원 이야기가 있다면? 내 서류에 있는 이름 중 실제 이름이나 정확한 이름이 있습니까?

저는 엄마와 아빠의 이름이 모두 있고 2017년에 Facebook에서 엄마를 검색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여기 또 다른 문제가 있습니다. 저는 한국에서 입양되었고 제 모국어를 읽거나 말하며 자라지 않았기 때문에 제 비엄마 이름의 영어 버전을 한글로 번역하는 방법을 알아내야 했고 정확하기를 바랍니다. 고맙게도 저를 위해 그렇게 해 줄 수 있는 동료 한국 입양인 친구가 있습니다. 검색해보니 나와 닮은 외모를 가진 여성을 찾았는데 마치 50세 전후의 내 모습이 미래의 거울을 보는 것 같았다.

다음 도전은 – 그녀에게 메시지를 보낼까요? 그리고 내가 그렇게 한다면, 나는 무엇을 말합니까? "안녕하세요, 당신은 저를 잘 모르지만 저는 1987년에 당신이 포기한 당신의 딸일 것입니다. 그때 당신은 여자아이를 포기했습니까? 내가 미쳤거나 문제를 일으키지 않을 것이라고 약속한다." 예, 잘 진행되고 있는 것 같지 않습니다. 나는 그녀를 친구로 요청합니까? 그녀를 겁내지 않고 어떻게 접근합니까? 그녀가 결혼했고 다른 아이들이 있다면? 내가 비밀이라면? 그녀가 나를 거부한다면?

이것은 2017년에 제가 잠재적인 비맘을 처음 찾았을 때였습니다. 몇 주간의 고뇌와 겁에 질린 동시에 흥분된 후에 저는 그녀에게 메시지와 친구 요청을 보냈습니다. 몇 주가 되고 몇 달이 되고 결국 몇 년이 되는 날을 기다렸습니다. 아무것도. 나는 설렘과 희망에서 긴장과 확신으로 바뀌었습니다. 결국 그것은 다시 쓰라림과 좌절과 거절과 상실로 바뀌었습니다. 결국 나는 그것에 무감각해져서 뇌리 속으로 밀어넣고 잊으려 했다.

빨리 2021년 3월로 넘어가세요. 저는 최근에 입양의 안개에서 완전히 벗어나 한국의 문화, 언어, 음식, 전통을 다시 접하고 더 많은 한국 입양인 친구를 사귀기 시작했습니다. 나는 그녀를 다시 찾아보고 새로운 것이 있는지 확인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내가 외부 관찰자로서 번뜩이는 바에 따르면 그녀는 기혼으로 보이며 2명의 성인 딸이 있습니다. 그녀는 또한 베리 농장을 운영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나는 그녀에게 다시 메시지를 보내기로 결정했다. 이번에는 그녀가 더 잘 답장해주기를 바라면서 한글로 메시지를 보냈다. 나는 또한 그녀가 그것을 볼 수 있기를 바라면서 내 이름을 한글로 포함하도록 내 프로필 이름을 업데이트했습니다. 그녀는 메시지를 읽지 않았으며 나는 그녀를 다시 친구로 요청할 수 있는 옵션이 없습니다.

다른 채널을 통해 B-엄마를 찾고 연락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엉망입니다. 그들이 그녀를 찾을 수 없다면? 그들이 그렇게 하고 그녀가 나를 거부한다면? 이 여자가 그녀이고 그녀가 나를 거부한다면? 그녀가 세상을 떠났다면? 그것은 또 다른 도전입니다. 어느 쪽으로도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감정의 맹공격을 쇠약하게 만들고 마비시키는 것입니다. 저는 헤드라이트에 걸린 사슴과 같습니다.

이 글을 읽고 있는 양부모님들을 위해 가능하다면 공개 입양을 권장합니다. 여러분의 필요와 필요가 아니라 입양 자녀의 미래 필요와 필요를 위해서입니다. 그들은 그들의 기원, 병력, b-mom 또는 부모를 알고 자랄 것입니다. 그들은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더 잘 알게 될 것입니다. 질문을 하고 답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여전히 트라우마가 있을 것입니다. 여전히 힘든 날과 감정이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들은 내가 결코 갖지 못할 것보다 더 강력한 기반을 갖게 될 것입니다. 저는 34살이고 언젠가는 익사합니다. 나는 입양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으며, 지금 솔직히 말하면, 나는 그것을 싫어합니다.

장애인과 입양의 이중성

~에 의해 Erin E. Andy (지현정), 한국에서 미국으로 채택되었습니다.

3월은 뇌성마비 인식의 달입니다.

평생을 이 상태로 살아온 사람으로서 나는 그것이 투쟁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다인종 국제입양인으로서 정체성에 대한 갈등도 겪었다.

팔다리가 내가 원하는 것과 반대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경련으로 몸이 너무 피곤할 때 침대에서 일어나기가 어려웠던 적이 있습니다. 일상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진정을 위해 약을 추가로 복용해야 했던 적도 있습니다. 내 몸이 행동하는 방식에 대해 쳐다보는 것은 인정하고 싶지 않을 때가 더 많다. 자신도 모르게 몸을 더 긴장하게 만드는 비판적인 시선을 잘 알고 있다. 뇌성마비로 인해 감정이 표출될 때 나는 흥분이나 초조함을 감출 수 없습니다.

사람들이 “걷는 대신 휠체어를 사용해야 할 것 같다”는 농담을 하면 무감각하게 느껴진다. 그러나 그 농담은 여전하다. 때때로 사람들이 우리 몸을 제어할 수 없는 사람들을 조롱하는 것을 보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뇌성마비와 함께 자라면서 적응하기 어려울 정도로 휠체어와 휠체어에 고정된 장치로 인해 나와 다르다는 것을 끊임없이 상기시켰습니다. 하지만 장애를 인정하는 것 외에도 내 정체성의 또 다른 측면, 즉 인종 간 국제 입양인이라는 문제에 직면해야 했습니다.

입양 가족 내에서 내가 다른 한국 입양아 형제들과 함께 자랐고 일본계 아빠가 있다는 사실에 어느 정도 위안을 느꼈습니다. 그러나 엄마와 함께 외출하는 것은 내가 입양되었다는 것을 분명히 상기시켜주었습니다. 나는 그녀와 전혀 닮지 않았고, 낯선 사람들이 우리를 신기하게 바라보는 것을 보니 이것이 다르다는 것이 분명해졌습니다. 내가 다르다는 것을. 입양한 아이들이 있는 다른 가족들과 함께 캠핑을 갔을 때 비로소 마음이 편안해졌습니다. 장애인으로 입양된 사람은 나뿐만이 아니었다. 나는 받아들여지는 느낌이 들었다. 그들은 내 존재를 정상화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내가 자라면서 친족이 나를 포기했다는 사실을 깨닫기가 어려웠습니다. 나는 종종 그 이유가 궁금했다. 더 나은 삶을 살게 해주려고 애쓰고 있다는 말을 들었지만, 포기에 대한 고통과 거부감은 그들의 좋은 의도와 화해하기 어렵습니다.

저는 장애인을 요구한 적이 없습니다. 나는 그들이 나를 너무 쉽게 포기하는 것에 화가 났다. 나는 적어도 꽤 오랫동안 그 이유를 결코 이해하지 못했다. 나는 다섯 살에 포기했기 때문에 친족을 알고 있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홀트 입양 서비스에 나를 포기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나는 입양 기관이 나를 입양할 가족을 찾을 때까지 잠시 위탁 가정에 머물렀다.

2014년 친어머니와의 상봉을 위해 한국으로 돌아가 고향을 다시 만났을 때 불편한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서울의 거리에서 휠체어를 탄 사람을 거의 본 적이 없다는 것입니다. 나는 뇌성 마비와 같은 신체 장애가있는 내 여행 그룹 외에 나와 같은 사람을 보지 못했습니다. 일산에 있는 고아원에 가서야 몸이 불편한 사람들이 몇 명 보였습니다. 나는 당황했고 결국 실망했다. 한국에서 돌아온 후 나는 그들이 장애인을 어떻게 바라보는지에 대한 비디오와 기사를 몇 년 동안 보았습니다.

내가 먼저 태어나서 이 장애를 피하는 데 필요한 산소를 공급받았다면 여기 미국에 있었을까요? 내가 한국에 있었다면 내 삶은 어땠을까? 나는 나이가 들면서 고아원에 보내질까, 아니면 시설에 보내져 여생을 외부 세계와 은폐하며 살았을까? 지금까지 나는 입양되지 않았다면 내 운명이 어떻게 되었을지 생각하고 있다.

나는 뇌성마비 때문에 입양하게 되었지만, 서로의 투쟁이 서로를 막지 못합니다. 내가 장애인이 아니었을 수도 있었던 삶을 여전히 애도하지만, 이 삶이 여기 미국에서 살 가치가 있다는 것을 압니다.

나에게는 사랑하는 남편, 다양한 지역에서 온 많은 친구들, 내 행복을 걱정해주는 가족들, 그리고 아마도 가장 큰 것은 번창할 수 있는 능력이 있습니다.

나는 뇌성마비를 시키거나 입양을 포기해 달라는 요청을 한 적이 없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여기에 있습니다. 나는 존재한다. 내 조건은 내가 누구인지도 아니고 그것이 나를 정의해서는 안 됩니다.

한국어
%%바닥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