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이그 특별위원회의 콜린 캐디어

~에 의해 콜린 캐디어, adopted from Brazil to France, President of La Voix des Adoptés
Presentation at Session 1, Day 1: Voices of Adoptees Panel

Mesdames et messieurs les représentants des Etats signataires, les délégués et représentants d’associations, d’autorités nationales ou internationales,

Je salue cette espace d’expression ouvert aux acteurs de la société civile, et notamment nous Personnes Adoptées, concernés directement par le sujet qui nous mobilise aujourd’hui et les jours à venir. Je tiens à remercie particulièrement Lynelle LONG (InterCountry Adoptees Voices) pour avoir invité La Voix des Adoptés à se joindre à sa délégation, et également le Bureau Permanent, en la personne de Laura MARTINEZ avec qui j’ai eu l’occasion d’échanger de nombreuses fois, notamment ces dernières semaines pour nous aider à préparer ce panel.

Je m’appelle Colin CADIER, je suis né en 1980 à Recife (Brésil), adopté à 15 jours par un couple Français dits “expatriés”, je réside aujourd’hui à Marseille (France) où je travaille dans l’administration territoriale en lien avec l’international… Je suis binational (franco-brésilien), tricullturel (franco-sudamericain) et quadrilingue (si je me permets de compter l’anglais). 

Depuis 2019, je suis le Président de La Voix Des Adoptés, une association de droit français, existante depuis 2005 qui agit sur tout le territoire (avec des antennes à Paris, Lille, Lyon, Tour, Marseille) en lien avec de nombreux pays (Brésil, Colombie, Guatemala, Roumanie, Vietnam, Bulgarie ) qui participe aux réunions collégiales d’un organe consultatif traitant particulièrement des sujets liés à l’adoption internationale (aux côtés d’autres associations) et intervient par les témoignages de ses bénévoles auprès d’associations partenaires qui accompagnent notamment les parents/familles candidates à l’adoption. Outre les Groupes de Paroles, et les événements culturels ou conviviaux organisés par la quarantaine de bénévoles investis, nous animons une WebRadio, développons un Jeu pédagogique sur l’adoption et nous travaillons conjointement avec notre Autorité Centrale qui a participé à notre récent séminaire annuel de formation de nos bénévoles, l’Association Racines Coréennes (de 10 ans notre aînée), le SSI France, l’AFA, la Fédération EFA et bien d’autres associations nationales ou locales, en France ou à l’étranger.

Au regard des nombreuses demandes que nous recevons des personnes adoptées faisant des recherches sur leurs origines, force est de constater qu’en l’absence d’un référentiel mondial reconnu par les autorités des Etats concernés, un certain nombre de personnes nées dans certains pays puis recueillies dans des foyers d’un autre pays – au cours des dernières décennies du siècle passé, rencontrent des difficultés à accéder aux informations sur leur famille de naissance, ou sur les circonstances de leur naissance jusqu’à leur arrivée dans leur nouveau foyer… Rédiger et adopter ce nouveau texte en 1994 qui a été ratifié progressivement par un très grand nombre d’Etats soucieux d’établir un cadre structuré sur les conditions spécifiques pour “donner une famille à un enfant” (tout en veillant à respecter le meilleur intérêt de l’enfant), a constitué une avancée majeure. Quant aux modalités d’application dudit texte, chaque Etat signataire en la responsabilité au regard de sa législation et de ses politiques publiques en matière de protection de l’enfance… La diversité des situations socio-politico-économiques des Etats, du rôle des différents acteurs publics ou privés, impliqués, démontrent qu’il demeure encore des points à améliorer.

La convention de La Haye prévoit bien des dispositions concernant les informations détenues par les autorités sur les origines de l’enfant et leur accès avec des conseils appropriés (articles 30 et 31), mais un certain nombre de personnes adoptées devenues adultes recherchent des informations sur leur origine et se heurtent à des fins de non recevoir. Les motifs peuvent être très variés, selon la date, le lieu de naissance et les conditions dans lesquelles la procédure d’adoption s’est déroulée, il existe souvent un écart voire un fossé entre les informations disponibles et celles recherchées par les personnes adoptées dans leur enfance.

C’est pour cette raison que nous, association d’adoptés et EFA (association de parents adoptants/adoptifs), avons adressé un courrier aux trois ministres de tutelle de l’autorité centrale française pour demander la mise en place d’une commission d’experts indépendants dans le but d’éclairer sur des pratiques qui malheureusement laissent AUJOURD’HUI des personnes sans réponses à leurs questionnements. Et pourtant, ces adoptés n’ont d’autre choix que de se tourner vers les autorités compétentes (les autorités centrales et celles intervenant dans la protection de l’enfance) pour tenter d’obtenir des clarifications ou des explications.

Il est vrai que dans le cadre de la récente réforme engagée par le gouvernement français concernant les structures en charge des politiques publiques de protection de l’enfance, notre association a été invitée à prendre part aux instances de gouvernance de la nouvelle entité en cours d’installation. Nous sommes très reconnaissants de cette place qui nous est accordée d’autant plus que nous comptons apporter notre savoir “expérienciel” sur les questions liées à la Recherche des Origines et la mise en place de dispositifs d’accompagnement (administratif, socio-psychologique) ou d’assistance juridique pour les personnes adoptées, et idéalement avec des mécanismes (ou instruments) de coopération avec les autorités compétentes (centrales) des pays dits de naissance.

Nous espérons voir la nouvelle structure se doter des moyens nécessaires pour pouvoir répondre à la demande des personnes adoptées. Il est à noter que de nombreuses personnes adoptées (aujourd’hui adultes, majeures révolues) correspondent à des adoptions qui ont eu lieu avant 1993, comme en témoignent les statistiques (puisque le nombre d’enfants nées et adoptées à l’étranger a diminué de façon progressive mais plutôt significative au fil des années jusqu’à nos jours – passant de plusieurs milliers par an à quelques centaines). Même si pour la plupart des adoptions qui ont eu lieu à partir des années 2000, les données sont disponibles et accessibles, il n’en demeure pas moins un besoin d’accompagnement au moment notamment où la personne adoptées exprime son souhait éventuel de retrouver les membres de sa famille de naissance… Certaines autorités centrales se proposent de faire le nécessaire, d’autres sont démunies ou ne disposent pas des moyens légaux, humains, matériels ou financiers nécessaires… Enfin le paysage des structures privées lucratives ou non lucratives n’en n’est pas moins varié : des personnes peu scrupuleuses ou malveillantes, aux bénévoles dévoués mais pas forcément “préparées” ou outillées pour faire face à des situations humaines complexes voire dramatiques, sans oublier la barrière de la langue… Tout cela nous conduit aujourd’hui à attirer votre attention Mesdames et Messieurs sur cette réalité: Comment orientons nous les personnes adoptées qui sont notamment plus âgées que vos respectifs organismes (créés à partir des années 2000), ou celles qui rencontrent encore, dans certains cas, des difficultés à trouver les informations sur leurs origines ? 
Dialoguer, coopérer et proposer des actions conjointes, constituent un moyen possible et positif pour permettre d’avancer, de répondre aux besoins des personnes adoptées ou des associations qui comptent sur le pouvoir d’intervention des autorités compétentes.

Je Vous remercie pour votre écoute et vous souhaite des échanges riches au cours au cours des prochains jours.

영어 번역

Ladies and gentlemen, representatives of the signatory States, delegates and representatives of associations, national or international authorities,

I welcome this space of expression open to the actors of civil society, and in particular to us Adopted Persons, directly concerned by the subject that mobilizes us today and in the days to come. I would like to thank in particular Lynelle Long (InterCountry Adoptees Voices) for inviting La Voix des Adoptes to join her delegation, and also the Permanent Bureau, in the person of Laura Martinez with whom I have had the opportunity to exchange many times, especially in the last few weeks to help us prepare this panel.

My name is Colin CADIER, I was born in 1980 in Recife (Brazil), adopted at 15 days by a French couple called “expatriates”, I now reside in Marseille (France) where I work in the international territorial administration. I am bi-national (Franco-Brazilian), tri-cultural (Franco-South American) and quad-lingual (if I allow myself to count English).

Since 2019, I am the President of La Voix Des Adoptés, an association under French law, existing since 2005, which acts on the whole territory (with branches in Paris, Lille, Lyon, Tour, Marseille) in connection with many countries (Brazil, Colombia, Guatemala, Romania, Vietnam, Bulgaria ), which participates in the collegial meetings of a consultative body dealing particularly with topics related to international adoption (alongside other associations) and intervenes through the testimonies of its volunteers with partner associations that accompany in particular parents/families applying for adoption. In addition to the discussion groups and the cultural or social events organised by the forty or so volunteers involved, we run a WebRadio, develop an educational game on adoption and work jointly with our Central Authority, which took part in our recent annual training seminar for our volunteers, the Korean Roots Association (10 years older than us), ISS France, AFA, the EFA Federation and many other national or local associations, in France and abroad.

입양된 사람들로부터 그들의 기원을 조사하는 수많은 요청을 고려할 때, 관련 국가 당국이 인정하는 세계적인 참조 시스템이 없는 경우 특정 국가에서 태어나 집으로 데려가는 특정 수의 사람들이 있다는 것이 분명합니다. 다른 나라에서 – 지난 세기의 지난 수십 년 동안 – 가족에 대한 정보 또는 새 집에 도착할 때까지 출생 상황에 대한 정보에 접근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1994년에 이 새로운 문서의 초안을 작성하고 채택했으며, "자녀에게 가족을 제공"(최고의 존중을 위해 주의하면서 아동의 이익), 주요 발전을 구성했습니다. 상기 텍스트의 적용 방식과 관련하여, 각 서명국은 아동 보호 측면에서 자체 입법 및 공공 정책에 대한 책임이 있습니다. 국가의 사회정치적, 경제적 상황의 다양성과 관련된 다양한 공적 또는 사적 행위자의 역할은 여전히 개선해야 할 점이 있음을 보여줍니다.
헤이그 협약은 당국이 아동의 출신과 적절한 조언에 따라 접근할 수 있는 정보에 관한 조항을 제공하지만(30조 및 31조), 성인이 된 특정 수의 입양인이 자신의 출신에 대한 정보를 요청했지만 거부되었습니다. 그 이유는 출생일과 장소, 입양 절차가 이루어진 조건에 따라 매우 다양할 수 있으며, 입양된 사람들이 어린 시절에 얻을 수 있는 정보와 정보 사이에 격차가 있거나 간극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 입양인회와 EFA(입양부모회)는 프랑스 중앙기관을 담당하는 3명의 장관에게 서한을 보내어 프랑스 정부에 독립적인 전문가 위원회 설치를 요청하게 되었습니다. 불행하게도 사람들이 질문에 대한 답을 얻지 못하게 하는 관행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그러나 이들 입양인들은 해명이나 해명을 위해 권한 있는 당국(중앙당국과 아동보호 관계자)을 찾을 수밖에 없다.

최근 프랑스 정부가 아동 보호를 위한 공공 정책을 담당하는 구조에 대해 실시한 개혁의 틀 내에서, 우리 협회가 현재 설립 중인 새로운 단체의 거버넌스 기구에 참여하도록 초대받은 것이 사실입니다. . 우리는 기원 검색 및 지원 메커니즘 설정(행정, 사회 심리적) 또는 법적 지원과 관련된 문제에 대한 "경험적" 지식을 제공하고자 하기 때문에 우리에게 이 자리를 부여한 것에 대해 매우 감사합니다. 입양된 사람을 위해, 그리고 이상적으로는 소위 출생 국가의 권한 있는(중앙) 당국과 협력하는 메커니즘(또는 도구)이 있습니다.

우리는 새로운 구조가 입양인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필요한 수단을 갖추기를 바랍니다. 통계에서 알 수 있듯이 많은 입양인(현재 성인, 성년 이후)은 1993년 이전에 이루어진 입양에 해당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오늘날까지 – 연간 수천에서 수백). 2000년대 이후에 이루어진 대부분의 입양에 대해 데이터가 이용 가능하고 접근 가능하더라도 여전히 지원이 필요합니다. 특히 입양된 사람이 가족 구성원과 재결합하고 싶다는 의사를 표명하는 경우에는 더욱 그렇습니다. 그녀의 출생 가족. 일부 중앙 당국은 필요한 조치를 취하도록 제안하고, 다른 중앙 당국은 박탈당하거나 필요한 법적, 인적, 물질적 또는 재정적 수단이 없습니다. 마지막으로, 사적 영리 또는 비영리 구조의 풍경은 파렴치하거나 악의적인 사람들에서 헌신적인 자원 봉사자에 이르기까지 다양하지만 복잡하거나 극적인 인간 상황을 잊지 않고 처리할 수 있도록 반드시 "준비"되거나 장비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언어 장벽. 이 모든 것이 오늘 우리로 하여금 이 현실에 대해 여러분의 관심을 끌도록 이끈다 그들의 기원에 대한 정보를 찾을 때?

대화, 협력 및 공동 행동 제안은 권한 있는 당국의 개입 권한에 의존하는 입양인 또는 협회의 요구에 응답하기 위해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가능하고 긍정적인 방법입니다.

들어주셔서 감사하고 앞으로 며칠 동안 많은 교류가 있기를 바랍니다.

이전 게시물 읽기: 헤이그 특별위원회의 입양인

헤이그 특별위원회의 입양인

다음 주 7월 4일부터 8일까지 104개국 1993년 5월 29일 아동보호 및 국제입양 협력에 관한 협약 에서 온라인으로 함께 모일 것입니다. 특별위원회 회의 토론하다 입양 후 그리고 불법/불법 입양 문제. 보통 5년에 한 번씩 열리는 의미 있는 행사로, 이번이 처음이다. 넓은 참석하는 국제 입양인의 대표 관찰자. 역사적으로 2005년부터 국제한인입양인협회(IKAA)), 한국 입양인의 이익을 대표하는 네트워크는 참석할 입양인 단체. 2015년, 브라질 베이비 어페어(BBA) IKAA와 함께 참석한 두 번째 입양인 주도 조직이었습니다. COVID로 인해 이번 특별 위원회 회의가 연기되었으며 지난 몇 년 동안 저는 입양인 주도 조직 사이에 HOW 적용에 대한 지식을 전파하고 다음과 같은 현장 경험 조직을 장려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고 자랑스럽게 말할 수 있습니다. 금파 (한국 어머니 단체)를 대표합니다. 올해 우리는 자랑스럽게 6 입양인은 자신과 지역 사회를 대표하는 조직을 이끌었습니다. 우리는 진행했다!

2015년에, 나는 블로그 제목을 썼습니다. 국제 입양인의 목소리가 중요한 이유 이 웹사이트에서. 저는 수년에 걸쳐 정부 논의의 최고 수준에 우리의 목소리가 포함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옹호해 왔습니다. 그래서 다시 말하지만, 우리의 목소리는 이러한 최고 수준의 채택 정책, 관행 및 입법 논의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일부 비평가들은 우리가 이러한 회의에 참석해도 국제 입양에 있어 아무 변화가 없다고 말할 수도 있지만, 저는 우리가 성인의 모습을 숫자로 나타내는 것을 보는 것만으로도 정부와 당국이 몇 가지 핵심 사항을 깨닫는 데 도움이 된다고 제안하고 싶습니다.

  • 우리는 성장합니다! 우리는 영원한 아이로 남아 있지 않습니다.
  • 우리는 우리와 같은 미래의 아이들에게 일어날 일에 대해 발언권을 갖고 싶습니다.
  • 우리는 그들이 우리의 진정한 "누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우리는 이름 없는 숫자나 통계가 아닙니다. 우리는 실제 감정, 생각 및 무수한 경험을 가진 살아있는 사람들입니다. 그들의 결정은 중요하고 우리의 삶과 미래 세대에 영향을 미칩니다!
  • 우리는 그들이 미래를 위해 더 나은 것을 만들고 역사적 잘못을 바로잡기 위해 과거로부터 교훈을 배우도록 돕습니다.
  • 우리는 실제 경험의 전문가이며 그들은 우리의 의견을 활용하여 자신의 역할을 더 잘 수행하고 취약한 어린이를 돌보는 방식을 개선하기 위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헤이그 협약 프레임워크의 장점 중 하나는 입양인이 국제 입양을 정의하고 생성하는 권력 구조 및 당국에 대한 가시성과 접근을 가질 수 있는 다가오는 특별 위원회와 같은 기회를 창출한다는 것입니다. 국내 입양인은 전 세계적으로 이러한 프레임워크가 부족하고 옹호 활동에 중요한 정보와 사람들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함께 갖는 데 불리합니다.

올해 회의에서 ICAV를 대표하는 8명의 팀이 정말 자랑스럽습니다. 다양한 경험을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다양한 입양 국가와 출생 국가를 다룰 수 있도록 했습니다. 예,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있지만 우리 모두가 자원 봉사자로 이 일을 하기 때문에 사람들의 가용성과 다른 약속에 의해 제한되었습니다. 우리는 이번 회의에서 정부나 대부분의 NGO 참가자로서 급여를 받지 않습니다. 우리는 커뮤니티를 위해 개선하려는 노력에 열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참여합니다! 우리의 경험을 정의하는 권력 구조에 대한 지식을 갖추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우리의 글로벌 커뮤니티를 대표하기 위해 밤낮으로 5일의 시간과 노력을 자원 봉사하는 입양인들에게 큰 감사를 드립니다!

  • 애비 포레로-힐티 (미국 입양, 현재 캐나다 거주, 콜롬비아 출생, 콜롬비아 입양인 선집 저자 우리의 기원을 해독, 콜롬비아 Raíces의 공동 설립자; ICAV 국제대표)
  • 아샤 볼튼을 소중히 (미국에 입양, 인도 태생, 대통령 윤리 입양 개혁을 위한 사람들 PEAR; ICAV USA 대표)
  • 콜린 캐디어 (프랑스에 입양, 브라질 태생, 대통령 La Voix Des Adoptes LVDA)
  • 지니 글리에나 (미국 입양, 필리핀 태생, 공동 설립자 입양인 Kwento Kwento)
  • 주디스 알렉시스 어거스틴 크레이그 (캐나다 입양, 아이티 태생, 의 공동 설립자 성인 입양인 네트워크 온타리오)
  • 카일라 정 (미국 입양, 중국 태생, ICAV USA 대표)
  • 루다 메리노 (스페인에 입양, 러시아 태생)
  • 내 자신, 리넬 롱 (호주로 입양, 베트남 태생, 설립자 ICAV)

우리는 자신의 입양인 주도 조직을 옵저버로 대표하는 입양인 동료와 함께 자신을 대표합니다.

저는 이번 회의에서 큰 변화나 기념비적인 사건을 기대하지 않지만 입양인인 우리 자신과 또는 대표되는 다양한 정부 및 NGO 조직 사이에 관계를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공간의 변화는 수십 년이 걸리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라나는 작은 인연들이 쌓여서 긍정적인 영향이 되기를 바랍니다.

다음 몇 개의 게시물은 입양 후 지원에 관한 헤이그 특별 위원회 회의를 준비하기 위해 우리 팀의 일부가 작성한 주요 메시지와 이 리더를 통해 커뮤니티가 공유하고 싶은 내용을 공유할 것입니다. 계속 지켜봐 주세요!

전문가를 위한 교육 자료

출시일

새로운 입양인 주도 교육을 시작하게 된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합니다. 전문가를 위한 비디오 리소스 의사, 교사 및 정신 건강 전문가가 국제 입양인으로서의 경험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지난 6개월 동안 호주에서 성인 국제 입양인의 목소리를 모으고 교육 및 보건 전문가가 알고 싶어하는 내용을 공유하여 복잡한 삶의 길에서 우리를 더 잘 지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엄청난 노력이었습니다.

전반적으로 우리 프로젝트에는 6명의 프로덕션 팀, 오디션을 본 18명의 입양인의 영화 대본에 직접 입력, 8명의 입양인의 촬영, 5명의 입양인의 음악 제공, 10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피드백/검토 팀, 3명의 입양인의 번역 지원 및 Relations Matters – Gianna Mazzone에서 영화 참가자들에게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정서적 지원을 제공합니다. 이것은 진정으로 커뮤니티 협업이었습니다!

나는 듣기를 고대한다 피드백 보고 난 후에 생각하는 것. 또한 이 리소스를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의사, 교사 및 정신 건강 전문가에게 리소스 링크를 공유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프로젝트 자금 제공자에게 큰 감사를 드립니다.

관계 문제 2021년 6월까지 지난 5년 동안 연방 기금에 따라 국제 입양인과 가족에게 무료 정신 건강 심리학 기반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놀라운 일을 했습니다. ICAFSS 서비스(현재 관계 호주 향후 5년 동안);

NSW 입양 및 영구 치료 위원회  뉴사우스웨일즈(NSW) 내에서 입양 및 영구 돌봄 또는 관련 측면에 관심이 있거나 관련되거나 영향을 받는 정부 및 비정부 기관, 지원 그룹 및 개인을 한데 모으십시오.

에 의해 지원되는 호주 정부 사회 복지부, 국제 입양을 위한 호주 중앙 당국.

중국의 한 자녀 정책 확대의 시사점

~에 의해 한나, 중국에서 캐나다로 채택되었습니다.

구이저우성—"인간에게는 지구가 하나뿐이므로 인구 증가를 통제해야 합니다!" (아담 센추리)

중국 출생

나는 중국에서 태어났다. 그게 다야, 기원 이야기의 끝. 그게 내가 아는 전부 야. 나는 아마도 장쑤성에서 태어났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것도 확실하지 않습니다. 내 존재에 대한 가장 오래된 알려진 기록은 내가 20일로 추정되는 건강 검진입니다. 많은 친구들이 자신이 태어난 곳, 병원, 요일을 알고 있으며, 초까지 걸리는 시간과 소요 시간도 알고 있습니다. 나는 아무것도 모른다. 그들은 태어날 때 누구와 함께 있었는지, 어떤 가족을 처음 만났는지 알고 있습니다. 나는 아무것도 모른다. 법적 생년월일은 내가 발견되었을 때부터 추정되며 원래 출생 등록이 없습니다. 제 이름은 고아원 관계자들이 지어준 것입니다. 나는 내 이름이 무엇인지, 친부모가 나에게 이름을 지어주기까지 귀찮게 했는지도 모른다. 내가 어디에서 발견되었고 언제 분실 또는 잊혀졌는지에 대한 기록. 내 (입양) 어머니는 스크랩북에 내가 어느 카운티에 있다고 들었는지 썼습니다. 그것에 대한 기록이 없으며 일부 중국 입양인처럼 유기 증명서도 없으며 기록된 발견 광고도 없습니다. 많은 의도와 목적을 위해, 내 삶은 내가 한 살 미만이었을 때 캐나다 백인 부부에게 입양되었을 때 시작되었습니다. 저는 1991년 중국이 국제 입양의 문을 열자 외국인에게 입양된 수천 명의 중국 아이들 중 한 명입니다.

대부분의 중국 입양인과 마찬가지로 나도 1979년에 처음 도입된 한 자녀 정책의 그늘 아래 입양되었습니다. 한 자녀 정책(출생 제한 정책의 비공식 이름)은 부부가 한 명의 자녀만 가질 수 있도록 규정했습니다. 시골 가족과 소수 민족에 대한 예외가 있었지만 정책은 시행되었고 전국적으로 다양한 수준의 폭력과 함께 불평등하게 시행되었습니다. 아들에 대한 문화적 선호는 널리 알려져 있으며 한 자녀 정책에 따른 중국 입양의 대다수가 여아인 이유라고 여겨집니다. 우리 대부분이 여성으로 태어난 중국 입양인 커뮤니티에서 우리가 태어날 때의 성을 이유로 포기(또는 도난)되었다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고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중국의 출생 제한 변경

2021년 5월 31일 뉴스를 보니 CBC 기사 중국이 출산 제한을 완화하고 이제 부부가 최대 3명의 자녀를 낳을 수 있도록 허용한다고 2016년에 시행된 이전 두 자녀 대신에. 부부당 두 자녀를 허용하는 한 자녀 정책(One Child Policy)은 수십 년 만에 처음입니다. 그땐 별 생각 없었는데, 규제가 풀려서 다행이고, 여전히 재생산권을 지키고 있다는 게 슬펐다. 그런데 오늘 아침 뉴스를 보고 훨씬 더 강하게 느꼈습니다. 아마도 팬데믹 기간 동안 입양인을 위해 입양인이 운영하는 온라인 Facebook 그룹에 가입하여 입양인 커뮤니티에 연결하려고 노력했기 때문일 것입니다. 나는 어렸을 때 중국어 수업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오랫동안 잊고 있던 중국어를 (다시) 배우기 시작했습니다. 경찰이 흑인을 여러 차례 살해한 사건으로 인해 반흑인 및 반아시아인 인종차별에 대한 스포트라이트가 집중됐기 때문일 수도 있다. 전염병의 기원에 대한 인종차별적 발언으로 인해 아시아인 증오 범죄가 급증했기 때문일 수도 있다. 캐나다인, 트랜스인종, 중국인, 국제 입양인으로서 내 자신의 인종 및 문화적 정체성을 더 자세히 조사하기 위해. 하지만 무엇보다도 중국에서 입양한 두 자매가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이는 지금까지 대부분의 가족에게 중국에서 허용되지 않았습니다.  

복잡한 감정

여러 가지 이유로 중국의 새로운 완화 정책에 대한 뉴스 기사를 읽고 더 많은 만감이 교차했습니다. 다시 말하지만, 편안한 정책에 대한 행복과 여성의 신체와 재생산 권리에 대한 지속적인 경찰에 대한 슬픔과 실망입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또 다른 감정이 찾아왔다. 바로 분노였다. 나 화나. 한 자녀 정책에 따라 (강제적으로) 분리된 모든 중국 입양인과 생물학적 가족의 뺨을 때리는 것과 같습니다. 아무것도 아닌 것 같은 느낌, 심지어 이전보다 더. 내 친부모가 나중에 정책을 변경할 예정이라면 나를 포기한(만약 그런 일이 있었다면) 무슨 의미가 있었습니까? 출산율이 이미 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여성에게 교육, 직업, 피임약에 대한 더 많은 기회가 주어지고 이제 다시 출산율을 높이고자 하는 정책을 만든 의미가 무엇입니까? 버림의 원동력이 (반) 역전되었을 때 내 이름, 내 생일, 내 문화를 박탈하는 의미가 무엇입니까? 중국인 부부가 이제 세 명의 자녀(저와 자매와 같은 수)를 낳는 것이 허용된다면 수천 명의 어린이(대부분 소녀)를 버려지고 낙태하고 인신매매된 정책의 요점은 무엇입니까?

에 의해 혼합된 감정 신광호

이제 정책이 변경되었으며 어떻게 되었습니까? 나는 여전히 중국 입양인으로 태어난 나라에서 수천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살고 있으며, 수색을 시도하지 않는 한 살아 있는 혈족과 쉽게 연결할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나는 여전히 내 출생 이름, 생일 또는 출생지를 모르는 중국 입양인입니다. 한국 입양인들은 인정과 (제한된) 배상을 위해 한국 정부를 위해 싸웠고 성공적으로 로비를 했습니다. 그들은 한국 국적을 회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받았고 이제 F-4(한국 유산) 비자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팬데믹 기간 동안 한국 정부는 한국 입양인들을 위해 무료 마스크를 보냈습니다. 중국은 이중 국적을 인정하지 않으며 입양인에게 보다 쉽게 고국으로 돌아갈 수 있는 특별 비자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중국은 국제 입양인이나 국제적으로 입양된 수천 명의 어린이가 한 자녀 정책의 직접적인 결과임을 인정하지 않습니다. 정책이 완화되어 이제 중국인 부부는 캐나다에 있는 우리 가족처럼 최대 3명의 자녀를 낳을 수 있습니다. 내 입양을 유도했을 가능성이 있는 정책이 완화되었지만 나에게는 아무것도 바뀌지 않았으며 중국 정부는 계속 움직입니다.

만약에

나는 만약의 일과 가능한 일에 대해 생각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나는 내가 포기(또는 도난)되지 않았거나, 입양되지 않았거나, 대신 중국인 부부에게 입양되었다면 내 삶이 어땠을지 상상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최근 발표로 인해 만약에. 구체적으로 특별히, “우리 친가족이 한 자녀 정책의 제한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나를 지켜줄 수 있었다면 어땠을까?” 나는 현재의 삶에 만족하고 만족한다. 가끔 딸꾹질을 하고 인종차별적인 사소한 공격성과 정체성 투쟁에도 불구하고 나는 아무것도 바꾸지 않을 것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내가 한 자녀 정책으로 인해 빼앗긴 삶을 애도할 수 없고 애도하지 않을 것이라는 의미는 아닙니다. 나는 내 친부모가 (만일 그랬다면) 나를 뭐라고 불렀는지 모른다는 사실에 슬퍼한다. 내가 태어난 날짜, 시간, 장소를 모른다는 사실에 슬퍼합니다. 나는 내가 친족과 닮았는지, 또 모를지 모른다는 사실에 슬퍼합니다. 입양에 대한 전체 이야기를 결코 알지 못할 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나는 캐나다인으로서 중국에서 결코 완전히 편안함을 느끼지 못할 것이며 중국인 입양인으로서 결코 완전한 캐나다인으로 보이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에 애통합니다. 그리고 저는 중국 정부가 한 자녀 정책을 변경하고 계속 나아갈 수 있는 반면 나와 수천 명의 다른 사람들이 평생 동안 그 결과를 짊어질 수 있다는 점에 화가 납니다.

토큰주의에서 사회 정의로

~에 의해 마리 가르돔, 말레이시아에서 영국으로 채택되었습니다.

다양성만으로는 효과가 없을 뿐만 아니라 실제로 인종차별이나 소외라는 비난에 맞서 조직을 예방하는 데 사용되는 전술이라는 것이 점점 더 분명해졌습니다. 여기 영국에서 가장 반이민 정책을 주도하는 보수당 정치인은 유색인종입니다. 그들은 자신이 속한 그룹을 대표하지 않고 피곤하고 오래된 보수당의 비유를 낭독함으로써 권력에 껴안고 있습니다. 아마도 그들이 항상 외부에 있었고 항상 그럴 것입니다. 편협한 집단 내. 

우리는 몇 번이고 한 명의 소수 집단이 인종차별/아블리즘/성차별 등이 없는 이유에 대한 예를 제시하고 지지하는 것을 봅니다. 편리하게도 그들은 열정과 맹렬한 확신으로 현상 유지의 목소리를 개종합니다. 지배 집단이 불공정하다는 비난을 받을 때 그들은 혐의를 부인하는 방법으로 소수 집단 중 한두 명을 몰아내고 다시 소수 집단에게 불리한 결정을 내립니다.
수십 년 동안 대표성에 대한 인식과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조직, 할리우드 및 정부는 다수 집단과 사회 계층의 권력 역학을 의미 있게 다루지 않고 포용이 없는 다양성의 환상을 만들어 권력이 같은 손에 단단히 유지되도록 했습니다. 유색인종이나 백인 게이가 있다면 우리는 종종 동질적인 그룹으로 표현됩니다. 상자에 체크 표시를 하였지만 의미 있는 표현이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저는 입양인인 우리가 옹호자로 일하는 방식에서 이것을 봅니다. 사회에는 인식이 있지만 입양인이 전문가라는 생각에 편안함이 부족합니다. 따라서 포함 성과가 있으므로 입양인은 그것이 얼마나 아름다운지를 지지하는 경우 입양 프로모션 캠페인의 최전선에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들이 우리 경험의 복잡성에 대해 이야기하더라도 입양을 좋은 일이자 자녀가 지원이 필요한 가족 위기를 해결하는 유일한 방법으로 보는 사람들에게 위안을 주는 목소리로 남아 있습니다.

나는 정책을 개혁할 수 있는 조직 내에서 정책이나 모범 사례에 대한 내 의견을 제시하도록 초대받는 경우가 거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내가 있을 때 다수 집단의 편안함이 상당히 선호되었습니다. 우리가 다른 사람의 영역과 계층 구조 아래에서 수적으로 열세일 때 대표성은 우리에게 힘을 주지 않습니다. 나는 이것이 대부분 무의식적이라고 생각하지만 항상 활용됩니다. 대다수의 사람들은 권력의 형평성이나 더 규칙적인 불평등을 만드는 요인을 거의 고려할 필요가 없습니다.  

입양인은 전 세계적으로 거의 대표되지 않습니다. 영국에서만 입양인의 광범위한 경험을 다루는 단일 입양인 주도 그룹이 없습니다. 그 대신 우리는 서로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한 우리 자신과 우리 자신을 도우려고 노력하는 기금이 없는 서로 다른 상호 원조 그룹입니다. 나는 많은 입양인들이 옹호를 하다가 지치는 경우를 자주 목격했습니다. 회의 및 정책 행사에 초대된 후 많은 사람들이 그러한 행사의 충격적인 성격 때문에 시야에서 사라졌습니다. 소수자로서 우리의 목소리가 무시되고, 거부되고, 논쟁되고, 종종 공격적으로 침묵하기 때문에 그것들은 충격적입니다. 이 그룹은 우리가 너무 취약하고 변화가 필요하기 때문에 주로 그 테이블에 있습니다. 우리 커뮤니티는 자살, 우울증, 중독 등의 높은 수준을 가지고 있습니다. 

내가 옹호자로서 일을 계속하려면 위험한 수준의 스트레스를 견딜 수 있는 이 공간에서 나와 동료 입양인이 성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그래서 저는 우리가 경계를 설정하는 방법에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문제가 발생할 때 이름을 지정할 수 있는 언어를 가질 수 있도록 작동하는 힘의 역학에 이름을 지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는 권력 역학의 이름을 지정하고 사회 정의에 진정으로 관심이 있는 사람들을 위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간단한 인포그래픽을 만들었습니다.

ICAV에서 Marie의 다른 최근 게시물을 참조하세요. 자선에서 정의로

고장난

~에 의해 욜란다, 트랜스인종 입양인(자메이카인, 흑인과 치파와에 인디언 혈통이 혼합됨)이 미국에서 미국 흑인 입양 가정으로 자랐습니다.

Yolanda의 작품

저는 7개월에 입양되었고 입양인 이야기는 좋지 않습니다.

기본적으로 저는 정신적, 육체적, 정서적, 성적 학대로 가득 찬 종교적인 가정에서 자랐습니다. 그로 인해 나는 양부모에게서 쫓겨나 정신적, 육체적 학대가 계속되는 위탁가정에 맡겨졌다.

자라는 것은 어려웠고 나는 항상 가족의 검은 양이었습니다. 이제 내가 나이가 들어서 입양 가족들이 내가 그들에게 무슨 짓을 한 것처럼 행동합니다. 그들은 저와 제 아이들을 받아들이지 않습니다. 가족 행사에서 그들은 나 또는 내 아이들에게조차 말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래서 그만두고 완전히 끊었지만 여전히 아프다.

내가 원했던 것은 가족과 가까이 있는 것뿐이었습니다. 그러나 나는 그것이 어떤 느낌인지 결코 알지 못할 것 같다. 인생은 때때로 짜증이 날 때가 있습니다. 인정받지 못해서 지치고 괴로워요. 나는 더 이상 내 삶을 이해할 수 없는 것 같다. 나는 왜 이 땅에 있는 걸까? 그들은 내 삶에 목적이 있다고 말하지만 나는 그것을 보지 못합니다.

위의 내 작품은 내가 어떻게 망가졌는지를 반영합니다. 나의 음악 또한 내 여정을 표현할 수 있는 출구를 제공합니다.

페루 입양인이 출생지로 돌아갑니다.

2020년 COVID Lockdown 기간 동안 저는 화상 회의를 통해 리소스를 생성하면서 놀아볼 기회가 있었습니다. 이것을 클릭 링크 영국에서 자란 페루 입양인 Milagros Forrester와의 인터뷰를 위해 그녀는 입양 가족이 그녀가 고향과 다시 연결되고 고국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어떻게 지원했는지 자세히 설명하는 입양 여정을 친절하게 공유했습니다.

Milagros가 비디오 편집 시간을 완료하고 완성된 상태로 만들기 위해 참을성 있게 기다려준 Milagros에게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가족과 크리스마스 시간

이것은 놀라운 추억과 친밀함을 가진 어린 시절 가족이 없다는 것을 상기시키는 일 년 중 한 번입니다. 다른 입양인들만이 알 수 있듯이 저는 항상 제가 원하고 소중히 여기고 사랑받고 있다고 느끼는 가족의 느낌을 갈망해 왔습니다. 다른 많은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우리 가족도 완벽하지 않다는 것을 압니다. 하지만 나이가 들수록 입양 가족과 함께했던 어린 시절이 더 많이 보이고 그것이 저를 위해 만든 고통만 기억할 뿐입니다. 입양은 행복해야 하는 것 아닙니까? 그려지는 것입니다. 그러나 나는 내 안에 행복의 순간이 분출했다는 것을 압니다. 왜냐하면 내가 나이가 들고 내 자녀를 통해 이 모든 것을 다시 경험하면서 내 입양 가족이 야기할 수 있는 방치와 트라우마의 수준을 깨닫기 때문에 기억하기가 너무 어렵습니다. 피했다.

어떻게 극복합니까? 내가해야합니까? 아니면 항상 그럴 것이라는 것을 받아들여야 할까요... 예, "입양 가족"에 대해 생각해야 할 때마다 고통으로 스며 나오는 표면 아래에서 아프고 고통스럽습니다. 나는 이제 이 고통이 나 자신의 일부라는 것을 이해할 만큼 나이가 들었습니다. 사라지는 것은 아니지만 기능적이고 안정적이며 사랑하기 위해 해야 했던 일을 유지하고 존중할 수 있습니다.

치유는 고통이 멈추고 사라지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치유는 내가 진리를 받아들이게 된 것을 의미합니다. 나는 더 이상 익사하거나 반응하지 않습니다. 나는 감정을 다스리는 더 나은 방법을 배웠다. 나는 경계를 갖는 법과 내가 원하는 것을 지나치지 않는 법을 배웠습니다. 나는 내 자신의 필요에 충실해도 괜찮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나는 바꿀 수 없는 것을 받아들이고 내가 할 수 있는 것을 바꾸는 법을 배웠다. 나는 그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고 그들이 원하더라도 능력이 없다는 것을 압니다. 나 자신에게 주어야 합니다. 사랑, 연결, 수용, 양육. 

미국인을 위한 추수감사절처럼 크리스마스는 입양인으로서 가질 수 있었지만 갖지 못한 것에 대해 슬픈 감정을 느끼는 시간입니다. 나는 상봉의 현실을 알고 있다. 친가족이라도 내가 그들을 찾는다면, "가족"에 대한 나의 감정적 필요도 충족시킬 수 없을 것입니다. 그래서 이번 크리스마스에는 아이들과 남편을 가까이 데려오고 그들과 함께하는 모든 순간을 소중하게 여길 것입니다. 그들은 내가 가질 수 있는 유일한 진정한 가족이기 때문입니다! 사랑의 관계를 맺을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치유되고 스스로 엄마가 되어 내가 갖지 못한 것을 아이들에게 줄 수 있음에 감사합니다. 이것은 내 인생의 축복이었고 이번 크리스마스에 집중할 것입니다!

입양인으로서 어려운 과정을 이겨내고

~에 의해 조이 리스 한국에서 미국으로 입양 도움을 주기 위해 하와이 주에서 자금을 지원하는 치료사로 일하는 사람 마음챙김 용서 및 태도 치유 워크샵 및 교육.

이것은 나의 온전한 가족의 마지막 사진입니다. 곧 형은 쫓겨났고 결국 저는 고아원에 있게 되었습니다. 저는 9살 때 한국에서 미네소타 주 스프링 그로브의 백인 루터교 가정에 입양되었습니다. 당시 미국 최대의 노르웨이 공동체였습니다. 양가 가족이 이사를 꽤 많이 갔기 때문에 인맥을 찾기가 훨씬 더 어려워졌습니다. 나는 슬프고, 화나고, 외롭고, 무섭고, 두려움에 가득 찬 아이였고, 그 다음에는 여자이자 어머니였다. 나는 2008년에 생물학적 어머니와 형제가 나를 치유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찾았습니다. 그것은 끔찍한 재회였고 내 고통은 더 깊어졌습니다. 40대에 들어서면서 나는 지쳤고, 압도당했고 살고 싶은 마음은 0에 가까웠다. 입양인들의 많은 이야기처럼 자살까지 생각했다. NS. 시각.

동시에 그리고 확실히 위선적으로 나는 사회 서비스에서 특히 고위험 청소년들이 내 안에서 감당할 수 없는 똑같은 어려운 감정을 이야기하고 있었습니다. 나는 진정한 치유와 내면의 평화를 찾게 된 몇 번의 계산의 순간을 가졌습니다. 1986년에 "알로하 정신"법이 발효된 하와이로 이사한 것은 우연이 아닙니다. 그 법과 집중적인 추구를 통해 저는 이제 주의 기금을 받아 마음 챙김, 용서를 통해 트라우마에 대해 논의하고 고통을 줄이는 훈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태도 치유. 저는 삶의 모든 분야에서 사람들과 함께 일했고 이 훈련은 저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었습니다.

이제 내 삶에서 달라진 것은 없습니다. 이제 내 자신과 커뮤니티가 더 연결되어 있음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전에는 이해하지 못했던 방식으로 더 편안하고 사랑받는 느낌을 받습니다. 완전히 치료되는 것은 아니지만 내 고통을 관리하는 구체적인 기술이 바뀌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나를 위한 모든 것.

자라면서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목소리가 없고 내 상황에 대해 화나거나 슬퍼할 권리가 없다고 느끼는 것이었습니다. 입양가족이었다. 내 이야기를 공유하고 어려운 과정을 통해 일하고 온전히 느끼는 것이 나와 많은 사람들에게 효과가 있는 것이고 이것이 내가 다른 사람들에게 제공하는 것입니다.

당신의 이야기에 대해 이야기할 공간을 갖고 싶으시다면, 자신을 더 잘 관리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배우고, 치유를 위해 자신과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성장시키십시오. 질문이 있으면 저에게 연락하십시오.

2021년 1월 무료 줌 워크샵 오픈, 관심이 있으시면 저에게 연락하십시오: https://forms.gle/stFXmtosY6ihFUMA6

나와 같은 많은 입양인들은 변화를 위한 마지막 에너지 한 방울과 싸우고 있습니다. 나는 당신을 이런 식으로 섬기기를 바랍니다.

입양인의 이중성

~에 의해 애비 힐티, 콜롬비아에서 태어나 미국으로 입양되어 현재 캐나다에 살고 있습니다.
그녀는 이것을 그녀에게 쓰고 공유했습니다. 페이스북전국 입양 인식의 달.

입양인들은 복잡한 이중성으로 가득 찬 삶과 끊임없이 씨름하고 있습니다.

나는 외아들이지만 적어도 4명의 형제자매가 있습니다.

나는 2개의 다른 나라에서 온 출생 증명서를 가지고 있습니다.

다른 가족을 만들려면 가족을 잃어야 했습니다.

나는 중산층 가정에서 자랐지만 가난하게 태어났기 때문에 원래 가족을 잃었습니다.

나는 Abby라는 이름에 매우 애착이 있지만 다른 사람의 조상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나는 가끔 내가 엄마를 닮았다는 말을 듣는다. 하지만 우리는 같은 유전적, 인종적, 민족성을 공유하지 않는다.

나는 양가 가족을 사랑하지만 원래 가족을 찾아야 했습니다.

mi mámá와 재회했지만 더 이상 법적으로 관련이 없습니다.

나는 엄마의 딸이지만 엄마의 딸이기도 하다.

나는 아버지를 사랑하고 잃었지만 아버지가 누구인지 모릅니다.

나는 받는 나라에서는 키가 작지만 보내는 나라에서는 키가 큽니다.

나는 갈색이지만 내면화 된 흰색으로 자랐습니다.

저는 수용국에서는 이민자이지만 제 조국에서는 외국인입니다.

저는 생후 3개월부터 북반구에서 살았지만 여전히 추위에 몸이 힘들어요.

나는 영어를 유창하게 구사하지만 내 몸은 스페인어에 본능적으로 반응한다.

나는 항상 내 생일, 어머니의 날, 아버지의 날을 축하했지만 그 날은 나에게 결코 쉬운 날이 아닙니다.

(인종간, 국제) 입양인이 자신의 경험을 공유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고 있지만, 모든 NAAM 게시물, 모든 패널, 모든 팟캐스트 인터뷰, 특히 동료 입양인이나 내가 개인적으로 참여하는 모든 토론에 대해 정서적 비용이 높습니다. 우리의 경험에 도전하고 싶어하는 입양되지 않은 사람들로부터 반발을 받습니다.

그리고 저를 믿으십시오. 이것은 다양한 입양 그룹에서 매일 발생합니다. 따라서 당신이 알고 사랑하는 입양된 사람이 당신의 문자나 이메일에 답장을 늦게 하거나 그들이 가끔 꿈에서 길을 잃거나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면, 그것은 단지 우리의 일상적인 결정 중 많은 부분이 다음과 같아야 하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여러 가지 – 그리고 종종 경쟁적인 – 생각과 가족 시스템을 통해 실행됩니다.

한국어
%%바닥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