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ing for my family in Russia

This is the last in our blog series dedicated to Searching in Intercountry Adoption. These individual stories are being shared from our 원근법 종이 that was also shared with our Webinar, Searching in Intercountry Adoption by Adoptee Experts

~에 의해 Raya Snow born in Russia, raised in Canada

I was born in the city of Ivanovo Oblast, Russia 1989. It is located North East of Moscow with a population of 361,641. After I was born, my mother and father moved to the Caucasus of Russia, Derbent. After I turned 3, my parents got divorced and my mother and I moved to Stavropol, North of the Caucuses. 

Eventually, my mother met another man and we started living together in a two bedroom apartment. He was a very abusive and narcissistic man who would abuse both my mother and myself. I believe my mother one day left him, leaving me in his care. Not being his blood relative, he shortly dropped me off to my mother’s great-aunt’s place. This is where my journey really unfolded. 

My great-great aunt ( Elvira), was a religious older woman whose life revolved around the church and God. We lived somewhat happily together, but I would always wonder about my mother and her whereabouts. Sometimes my mother would come to the house to see me, but those were always incredibly short visits. Due to her never being around, the neighbours started to question my health and education. Elvira then thought to start looking for a forever home for myself. 

I remember, she would advise me to be on my best behaviour, to listen well, in order for a family to take me or to buy me off of her. Being only about 5 years of age, I was very excited to be able to visit other families with children, play with them, and get to know them. Deep down in my heart, I knew that I wouldn’t be able to stay with them because some were far worse off than I was, living with my aunt. 

One day, there was a lady that came to the door, asking to speak to Elvira about a family from Canada wanting to adopt a little Russian girl. Elvira was so pleased about this news that she allowed the woman to take pictures of herself which she would then send to the family in Canada. The woman let us know there would be a man who would come in the following weeks to advise if the Canadian family was interested in the child, me. In the meantime, I was still going from home to home, to see if anyone showed any interest in purchasing me. 

A month or two later, there was another knock on our gate and as the lady mentioned, there was a man (George) who came to see Elvira and I. George brought us fruits and sweets which I would eat while the two were speaking intently. He let Elvira know that the Canadian family took an interest in me and was willing to pay a big sum in order to adopt me. She let him know the process would not be an easy one as all my documentation was lost in a car accident where both of my parents died tragically. 

According to her statement, I survived miraculously by the will of God. She then showed George the death certificate of my parents, leaving me, a little orphan in her will. George suggested we start the process by recreating new documents, stating my mother’s name and him as the biological father in my new birth certificate. 

Me, being this little girl, understanding that my mother will never return back to me, as she had left and I hadn’t seen her maybe for months, I felt a new adventure was about to unfold. George started coming by the house more often, gaining my trust and I his. We became great friends and I enjoyed having a “father figure” in my life. On the weekends, I would go over to his house and meet his wife and children, who took me in with open arms. 

A turning point was about to happen when Elvira spoke to our neighbours and let them know she was going to take the money and myself up West, to the Ural Mountains where the rest of our family resided. The neighbours were saddened by this news as I was a very malnourished little girl who needed attentive medical care, so they called George straight away and let him know the alarming news. George of course, called the potential family in Canada and let them know that they needed to save me and hide me while the rest of the documentation was being prepared. The Canadian family agreed and I was brought to a small city near Moscow, where the biological relatives of their family lived. There, I met my wonderful adoptive mom, with whom I gained an instantaneous attachment because of desperately wanting to feel loved and cared for. 

I believe I lived with the family in Moscow for about 6 months. While my documents were getting done, I started attending pre-school, spent time with relatives on the weekends, went to church on Sundays and welcomed a new package from my Canadian family every few weeks or so. 

It was sometime in June when George came back into my life again. This time, we were going to begin our travels to Canada. The process was a very tricky one, I had to learn to call him “dad” and he would call me “daughter”.  George let me know that we had to fake a bond, where authorities would not be able to question our relationship to one another. Our lives were at stake if any one of us did something questionable, I could be sent to an orphanage and he to prison. 

We first began our trip to Moscow, where we stayed at George’s blind father’s place for a few days before heading out on a Cargo ship to Turkey. I remember the ship well and I grew fond of the people in it. Once we reached Turkey, we took a flight to France which I don’t have any memories of, and from there we flew to Canada. 

Once we got off the flight, I could see in the hallway above me, there were many people waiting to greet their loved ones. My adoptive parents were one of those people, who were waiting with balloons and a cam-recorder for that very first hug. George and my adoptive mom ended up getting married and this “happy” ending lasted for a couple more years until George and my adoptive mom separated (finalised the divorce) and then she claimed full custody of me. 

Twenty-five years went by, I started on my search for my biological parents which I have found with great success. I had help through a friend of my adoptive mom who was able to help me find my biological mother on a Russian app. I have found my biological mother, who is still well and alive with a beautiful, big family who has been supporting her throughout the loss of her child, me. I have also reconnected with my biological father, whom I found through a Russian tv show and he had been at war in 1994 – 1996 between the Chechens and the Russians. After the war ended, he began his search for me, with no leading answers on my whereabouts or my biological mother from Elvira. 

This is a true story. It is a story of grief, loss, abandonment and also happiness. I would like to bring awareness that abduction happens, that childhood trafficking exists and it needs to be spoken about. Adoptees are lacking support in those areas as we are terrified to speak about our truths and what the truth might do to those surrounding us. 

This is a new era, a space to bring light to our journeys, to the eyes of our governments, our adopters, adoption organisations and our peers. Let’s start creating legal changes through advocacy and the support of our fellow adoptees! Together, let’s share our truths!

자원

국제 입양에서의 탐색과 재결합

중국에서 가족 찾기

The following blog series will be dedicated to our Searching in Intercountry Adoption series. These individual stories are being shared from our 원근법 종이 that was also shared with our Webinar, Searching in Intercountry Adoption by Adoptee Experts.

~에 의해 셸리 로텐버그, born in China, raised in Canada, www.shelleyrottenberg.ca

I was adopted from Zhejiang, China to Ontario, Canada in 1996 when I was 8 months old. In one of my adoption documents, it says, “Our institution has looked for her parents and relatives by all means, but no trace can be found.” To this day, I still know nothing about my biological family. 

About 5 years ago I decided to act on my growing curiosity about my birth family. While I know the odds of finding them are very slim, especially because I don’t have any information to go on, I couldn’t help but at least try. The first step was a 23andMe DNA ancestry kit, gifted to me by my mom as a Christmas present. I carefully read the instructions in the box to make sure I did everything correctly, then sent off my saliva sample. My sister, who is also an adoptee from China, did one too. And then we waited. 

I remember being eager to get the results back because of the hope of having a DNA match with someone else in their database. At the time, the waiting period was about 6-8 weeks. Though after 2 months, instead of my results, I got an email with the subject line, “Your 23andMe Analysis was unsuccessful.” I was told that “the concentration of DNA was insufficient to produce genotyping results.” Luckily, I was sent a replacement kit and got a second chance to submit another saliva sample. Having followed the instructions correctly the first time, and without any further guidance on how to do things differently, I repeated the same steps and sent my sample once again. 

After another long 2-month wait, my heart sank as I read the same email subject line as the last one. Except for this time, they would not be sending me another replacement kit. The email explained that because of “the second low DNA failure” and there being “no additional steps that would increase the chance of success,” a full refund would be available to me. I was shocked and saddened by the news and confused too. I had done the exact same thing as my sister, yet she received her results back after the first attempt.

When I told a friend about the situation, she suggested I lightly chew my inner cheeks before spitting into the tube because buccal cells have a higher concentration of DNA. Determined to give it one last shot, I purchased another 23andMe ancestry kit with the refund they gave me and followed my friend’s advice. The saying, “third time’s a charm” held true in these circumstances because, after another 2 months, my third sample was a success!

All this waiting only heightened my anticipation, which probably contributed to my slight disappointment when I saw that I had no close relative DNA matches. It’s been 5 years now, and while I have over 900 distant relatives, all with less than 1% DNA shared, the number of close relatives is still zero. I have also since uploaded my raw data to GEDmatch and still no luck. 

Another search method I’ve tried is adding my information to a birth family search poster specific to the province I was adopted from. I did this 3 years ago through International Child Search Alliance (ICSA), a volunteer group of adoptees and adoptive parents. Their province search posters are shared widely on Chinese social media and in the past, they partnered with Zhejiang Family Seeking Conference and ZuyuanDNA for an in-person event. 

Getting my information added to the poster took about 3 months, partly because of the time it took me to make a WeChat account, gather the necessary information, and translate some of my adoption paperwork. The other reason for the timing was that ICSA’s update schedule for province search posters is three times a year.

Through the WeChat group for my province, I was able to connect with a woman from Zhejiang who wanted to help overseas adoptees. With great thanks to her, I was able to get my information on Baobei Huijia (Baby Come Home), a Chinese site run by volunteers to help find missing children. 

I learned of GEDmatch, ICSA and Baobei Huijia through the online adoptee/adoption community, which I discovered across various Facebook groups in 2018. Connecting with other adoptees and adoptive parents who are further along and more experienced in the birth family search journey has been extremely helpful. 

My mom has also been a huge help in her own efforts of searching for resources and information about birth family searching. Though most of all, her complete support for me throughout this process is what matters most. She hopes that I can find my biological family and relatives because she knows how important it is to me. 

We have discussed taking the next step of hiring a root finder or searcher. Though once I began to seriously consider this method, it didn’t seem like the right time. One searcher that my mom had reached out to in 2020 said that because of the COVID-19 pandemic, foot traffic was not as high as it used to be, and therefore paying for physical posters to be distributed in my city or province in China may have even lower chances of bringing about any success.

Also, the process of hiring a searcher or organisation seemed quite daunting to me because it is hard to know whom to go with and which services to pay for. Packages greatly differ in terms of how in-depth the search process is and prices can easily be hundreds of dollars. And at the end of the day, the odds of finding my birth family, even with professional help, are very low.

I do plan to go back to China one day for a heritage trip and would incorporate searching for birth family into that. While my active search efforts are paused for now, this is a lifelong journey, so I can pick back up whenever I want to. It’s nice to know that through my other initial search methods, the opportunity for a match is always possible, even without me doing anything. 

However, I do worry that by waiting to pursue additional active search methods, I might be making the process more difficult the longer time goes on. I don’t know if my orphanage has any adoption paperwork other than what I currently have and would hate for those documents to be destroyed. I also fear the possibility of birth family members dying, especially biological parents and grandparents. This thought crossed my mind when COVID-19 cases and deaths were high in China. 

On the other hand, I don’t know if I’m emotionally prepared for the can of worms that can come with more intensive searching and then a possible reunion. I know of adoptees who contacted their birth families, only to be rejected. Then there are others who have very complicated reunions and relationships. Though even considering the endless possibilities and the fact that I might never fully be ready, I still think searching and finding something unexpected is better than knowing nothing at all. 

My advice to other adoptees who are considering searching for their birth family is to make sure you have a solid support system to lean on during this process. I also recommend personally reflecting on your motivations for searching and what you want to get out of it. Lastly, do your research on search options and leverage the existing resources and lived experiences of others who are already familiar with this. I recommend joining the CCI Birth Parent Searching and Reunion Group on Facebook for any Chinese adoptees looking to start this journey.

Thanks for reading and best of luck to my fellow searching adoptees!

Coming Next: 베트남에서 가족 찾기

자원

국제 입양에서의 탐색과 재결합

입양인 생일

~에 의해 마르스, 필리핀에서 캐나다로 가져왔습니다. Maars @BlackSheepMaars를 팔로우할 수 있습니다.

입양인에게는 생일이 어렵습니다.

나에게 생명이 주어진 날을 상기시키는 것입니다. 그것은 어머니와 아버지가 나에게만 꿈꿀 수 있었던 일을 상기시켜줍니다.

그러나 입양에서 그 꿈은 일시적이고 다른 누군가가 나를 위해 새로운 꿈을 꾸지만 결코 보장되지 않습니다. 모든 꿈이 같은 의도와 사랑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니며 친부모를 잃은 저에게는 여러 면에서 사실입니다.

하지만 이제 나는 나 자신을 위해 꿈을 꾸고, 그것이 바로 나 자신을 되찾는 것입니다.

34년이 지난 오늘을 돌이켜보면, 나는 아직도 그 아이가 자기보다 앞서게 될 줄은 몰랐던 그 미소를 지으며 그 아기를 슬프게 합니다. 세월이 흐르면서 그녀는 얼마나 많은 상실과 슬픔을 극복해야 했으며 그녀가 가지고 태어난 모든 것을 잃었습니다.

그녀를 구할 수 있었더라면 좋았을 텐데. 나는 그녀가 겪을 모든 고통스러운 순간에서 그녀를 구할 수 있었고, 그녀가 친부모를 위해 울부짖을 때마다 그녀를 안을 수 있었다면 좋았을 텐데. 언젠가는 그녀가 자신의 모든 조각을 다시 찾을 수 있고 다른 유형의 슬픔을 겪게 될 것이라고 보장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그녀를 위해 거기에 있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오늘 저는 그녀와 저를 위해 아기 Maars와 제가 더 이상 붙잡을 필요가 없는 상처를 계속 치유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그녀가 현재의 평화와 행복을 찾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내가 결코 극복하지 못하는 것들, 어떤 것들은 항상 표면으로 드러나게 될 것입니다. 어떤 것들은 시간이 지나면 치유될 것입니다.

생일 축하해 아기 Maars, 우리 잘 지내고 있어!

Maars의 최근 블로그를 확인하십시오. 채택 시 많은 손실

기원이 중요하다

~에 의해 미미 라로즈, 캐나다에서 자란 아이티 출신 입양인.

아이티 아이들을 입양하셨나요? 양부모는 방금 발생한 지진에 대해 아직 이야기하지 않았습니다. 2010년에 그 지진이 일어났을 때, 그들은 내가 그로 인한 황폐함과 엄청난 인명 손실에 대해 너무 감정적이라고 비난했습니다.

그들이 아무 말도 하지 않거나 걱정하지 않는 것처럼 보일 때마다 그것은 우리 사이의 분열을 심화시킵니다.

양부모님, 자녀를 확인하고 슬퍼할 수 있는 공간을 허용해야 합니다. 그들은 부모님을 생각할 수도 있고, 만날 기회를 놓쳤을 수도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그들은 당신이 침묵할 때 당신이 신경 쓰지 않는다고 느끼기 때문에 침묵 속에서 상처를 입을 수 있습니다.

중국의 한 자녀 정책 확대의 시사점

~에 의해 한나, 중국에서 캐나다로 채택되었습니다.

구이저우성—"인간에게는 지구가 하나뿐이므로 인구 증가를 통제해야 합니다!" (아담 센추리)

중국 출생

나는 중국에서 태어났다. 그게 다야, 기원 이야기의 끝. 그게 내가 아는 전부 야. 나는 아마도 장쑤성에서 태어났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것도 확실하지 않습니다. 내 존재에 대한 가장 오래된 알려진 기록은 내가 20일로 추정되는 건강 검진입니다. 많은 친구들이 자신이 태어난 곳, 병원, 요일을 알고 있으며, 초까지 걸리는 시간과 소요 시간도 알고 있습니다. 나는 아무것도 모른다. 그들은 태어날 때 누구와 함께 있었는지, 어떤 가족을 처음 만났는지 알고 있습니다. 나는 아무것도 모른다. 법적 생년월일은 내가 발견되었을 때부터 추정되며 원래 출생 등록이 없습니다. 제 이름은 고아원 관계자들이 지어준 것입니다. 나는 내 이름이 무엇인지, 친부모가 나에게 이름을 지어주기까지 귀찮게 했는지도 모른다. 내가 어디에서 발견되었고 언제 분실 또는 잊혀졌는지에 대한 기록. 내 (입양) 어머니는 스크랩북에 내가 어느 카운티에 있다고 들었는지 썼습니다. 그것에 대한 기록이 없으며 일부 중국 입양인처럼 유기 증명서도 없으며 기록된 발견 광고도 없습니다. 많은 의도와 목적을 위해, 내 삶은 내가 한 살 미만이었을 때 캐나다 백인 부부에게 입양되었을 때 시작되었습니다. 저는 1991년 중국이 국제 입양의 문을 열자 외국인에게 입양된 수천 명의 중국 아이들 중 한 명입니다.

대부분의 중국 입양인과 마찬가지로 나도 1979년에 처음 도입된 한 자녀 정책의 그늘 아래 입양되었습니다. 한 자녀 정책(출생 제한 정책의 비공식 이름)은 부부가 한 명의 자녀만 가질 수 있도록 규정했습니다. 시골 가족과 소수 민족에 대한 예외가 있었지만 정책은 시행되었고 전국적으로 다양한 수준의 폭력과 함께 불평등하게 시행되었습니다. 아들에 대한 문화적 선호는 널리 알려져 있으며 한 자녀 정책에 따른 중국 입양의 대다수가 여아인 이유라고 여겨집니다. 우리 대부분이 여성으로 태어난 중국 입양인 커뮤니티에서 우리가 태어날 때의 성을 이유로 포기(또는 도난)되었다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고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중국의 출생 제한 변경

2021년 5월 31일 뉴스를 보니 CBC 기사 중국이 출산 제한을 완화하고 이제 부부가 최대 3명의 자녀를 낳을 수 있도록 허용한다고 2016년에 시행된 이전 두 자녀 대신에. 부부당 두 자녀를 허용하는 한 자녀 정책(One Child Policy)은 수십 년 만에 처음입니다. 그땐 별 생각 없었는데, 규제가 풀려서 다행이고, 여전히 재생산권을 지키고 있다는 게 슬펐다. 그런데 오늘 아침 뉴스를 보고 훨씬 더 강하게 느꼈습니다. 아마도 팬데믹 기간 동안 입양인을 위해 입양인이 운영하는 온라인 Facebook 그룹에 가입하여 입양인 커뮤니티에 연결하려고 노력했기 때문일 것입니다. 나는 어렸을 때 중국어 수업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오랫동안 잊고 있던 중국어를 (다시) 배우기 시작했습니다. 경찰이 흑인을 여러 차례 살해한 사건으로 인해 반흑인 및 반아시아인 인종차별에 대한 스포트라이트가 집중됐기 때문일 수도 있다. 전염병의 기원에 대한 인종차별적 발언으로 인해 아시아인 증오 범죄가 급증했기 때문일 수도 있다. 캐나다인, 트랜스인종, 중국인, 국제 입양인으로서 내 자신의 인종 및 문화적 정체성을 더 자세히 조사하기 위해. 하지만 무엇보다도 중국에서 입양한 두 자매가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이는 지금까지 대부분의 가족에게 중국에서 허용되지 않았습니다.  

복잡한 감정

여러 가지 이유로 중국의 새로운 완화 정책에 대한 뉴스 기사를 읽고 더 많은 만감이 교차했습니다. 다시 말하지만, 편안한 정책에 대한 행복과 여성의 신체와 재생산 권리에 대한 지속적인 경찰에 대한 슬픔과 실망입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또 다른 감정이 찾아왔다. 바로 분노였다. 나 화나. 한 자녀 정책에 따라 (강제적으로) 분리된 모든 중국 입양인과 생물학적 가족의 뺨을 때리는 것과 같습니다. 아무것도 아닌 것 같은 느낌, 심지어 이전보다 더. 내 친부모가 나중에 정책을 변경할 예정이라면 나를 포기한(만약 그런 일이 있었다면) 무슨 의미가 있었습니까? 출산율이 이미 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여성에게 교육, 직업, 피임약에 대한 더 많은 기회가 주어지고 이제 다시 출산율을 높이고자 하는 정책을 만든 의미가 무엇입니까? 버림의 원동력이 (반) 역전되었을 때 내 이름, 내 생일, 내 문화를 박탈하는 의미가 무엇입니까? 중국인 부부가 이제 세 명의 자녀(저와 자매와 같은 수)를 낳는 것이 허용된다면 수천 명의 어린이(대부분 소녀)를 버려지고 낙태하고 인신매매된 정책의 요점은 무엇입니까?

에 의해 혼합된 감정 신광호

이제 정책이 변경되었으며 어떻게 되었습니까? 나는 여전히 중국 입양인으로 태어난 나라에서 수천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살고 있으며, 수색을 시도하지 않는 한 살아 있는 혈족과 쉽게 연결할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나는 여전히 내 출생 이름, 생일 또는 출생지를 모르는 중국 입양인입니다. 한국 입양인들은 인정과 (제한된) 배상을 위해 한국 정부를 위해 싸웠고 성공적으로 로비를 했습니다. 그들은 한국 국적을 회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받았고 이제 F-4(한국 유산) 비자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팬데믹 기간 동안 한국 정부는 한국 입양인들을 위해 무료 마스크를 보냈습니다. 중국은 이중 국적을 인정하지 않으며 입양인에게 보다 쉽게 고국으로 돌아갈 수 있는 특별 비자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중국은 국제 입양인이나 국제적으로 입양된 수천 명의 어린이가 한 자녀 정책의 직접적인 결과임을 인정하지 않습니다. 정책이 완화되어 이제 중국인 부부는 캐나다에 있는 우리 가족처럼 최대 3명의 자녀를 낳을 수 있습니다. 내 입양을 유도했을 가능성이 있는 정책이 완화되었지만 나에게는 아무것도 바뀌지 않았으며 중국 정부는 계속 움직입니다.

만약에

나는 만약의 일과 가능한 일에 대해 생각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나는 내가 포기(또는 도난)되지 않았거나, 입양되지 않았거나, 대신 중국인 부부에게 입양되었다면 내 삶이 어땠을지 상상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최근 발표로 인해 만약에. 구체적으로 특별히, “우리 친가족이 한 자녀 정책의 제한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나를 지켜줄 수 있었다면 어땠을까?” 나는 현재의 삶에 만족하고 만족한다. 가끔 딸꾹질을 하고 인종차별적인 사소한 공격성과 정체성 투쟁에도 불구하고 나는 아무것도 바꾸지 않을 것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내가 한 자녀 정책으로 인해 빼앗긴 삶을 애도할 수 없고 애도하지 않을 것이라는 의미는 아닙니다. 나는 내 친부모가 (만일 그랬다면) 나를 뭐라고 불렀는지 모른다는 사실에 슬퍼한다. 내가 태어난 날짜, 시간, 장소를 모른다는 사실에 슬퍼합니다. 나는 내가 친족과 닮았는지, 또 모를지 모른다는 사실에 슬퍼합니다. 입양에 대한 전체 이야기를 결코 알지 못할 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나는 캐나다인으로서 중국에서 결코 완전히 편안함을 느끼지 못할 것이며 중국인 입양인으로서 결코 완전한 캐나다인으로 보이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에 애통합니다. 그리고 저는 중국 정부가 한 자녀 정책을 변경하고 계속 나아갈 수 있는 반면 나와 수천 명의 다른 사람들이 평생 동안 그 결과를 짊어질 수 있다는 점에 화가 납니다.

나는 누구인가?

TLB에 의해 베트남에서 캐나다로 채택되었습니다.

내가 아빠나 엄마처럼 보이나요? 내 진짜 이름은 무엇입니까? 나는 언제 태어났습니까? 나는 과연 누구인가? 나는 평생 이 질문들을 겪었고 내가 답을 찾을 수 있을지 확신이 서지 않습니다.

저는 베트남에서 태어나 70년대 초 캐나다의 백인 가정에 입양되었습니다. 나는 일부 아프리카계 미국인과 베트남인이지만 더 아프리카계 미국인처럼 보이고 소아마비와 총상으로 인한 신체적 장애도 있습니다(어릴 때 들었던 말이지만 사실인지 확실하지 않음) . 나는 자라면서 내가 다르다는 것을 항상 알고 있었습니다. 피부색 때문이 아니라 장애가 있기 때문입니다. 캐나다에 도착했을 때 척추 측만증으로 인해 다리와 등을 곧게 펴기 위해 여러 수술을 받기 위해 병원에 가야 했습니다. 병원에서 집에 도착했을 때, 이것은 내가 가족의 일원이 아니라는 것을 느꼈을 때였습니다. 어렸을 때 나는 베트남을 떠나 다른 환경에 있는 영향으로 완고하고 말을 거의 하지 않고 압도당했습니다.

백인 세계에 살고 있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아시아 장애 아동으로서 나는 내가 다르다는 것을 알았고 너무 잘 어울리기를 원했습니다. 어린 나이에 저는 양부모가 다른 형제 자매들과 다르게 저를 대하신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들에게는 아동구호회에서 입양한 또 다른 입양아와 함께 두 명의 다른 생물학적 자녀가 있었기 때문에 나는 가족의 흑양이었고 다른 가족 구성원과 이웃에게 내 별명이었습니다. 내 양모는 모두가 그녀가 닫힌 문 뒤에 있다고 생각하는 완벽한 어머니가 아니 었습니다. 집에서는 휠체어 사용이 금지되어 있어 항상 바닥과 카페트를 기어 다녀야 했지만 카페트에 흔적을 남기는 것이 보기 좋지 않고 양어머니가 항상 진공 청소기로 청소를 하시게 해서 침실을 아래로 옮겨야 했습니다. 지하실에서 – 형제들과 떨어져 있습니다. 내 형제들이 나와 놀기 위해 내려올 때마다 그들은 다시 위층으로 보내졌고 당신의 "검은 양" 자매와 놀지 말라는 말을 들었습니다. 지하실에 혼자 있는 나는 말을 멈추고 어린 시절을 즐겁게 지내야 했습니다. 말을 하지 않고 성대가 잘 발달하지 않아 학교에 갈 때마다 다른 학생들과 소통이 어려워 왕따를 당하고 벙어리로 낙인 찍혔다.

양어머니는 항상 저에게 저를 입양해 주셔서 감사해야 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내 감정을 진심으로 이야기하면 구타를 당할 것 같아서 항상 내 감정을 숨겼습니다. 나는 항상 내가 잘못을 저지를 때마다 내 생명을 구해준 그녀에게 감사해야 했다. 처음으로 "나를 입양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말했을 때, 양어머니는 저를 정서적으로나 육체적으로 학대했습니다. 때때로 나는 그녀가 나에게 한 일에 신경 쓰지 않고 옷장에 있는 내 껍질 속에 있는 것이 더 행복했습니다.

나는 가족 모임이나 가족 휴가에 참여하지 않았습니다. 남들이 다 먹은 뒤에는 항상 혼자 밥을 먹곤 했다. 내가 결코 잊지 못할 한 가지 기억은 나의 입양 가족이 플로리다로 떠났을 때 나의 입양 어머니가 "흑인과 장애 아동은 허용되지 않는다"고 말했기 때문에 나는 갈 수 없었습니다. 거울에 다가가 내 자신을 바라보았다. 너무 하얗게 하고싶어서 세게 문질러봤는데 그냥 빨개졌어요. 휠체어를 계단 아래로 밀고 올라가려고 했습니다. 대신 넘어져서 이웃 사람이 피를 흘리는 것을 발견할 때까지 며칠 동안 바닥에 누워 있었습니다. 그는 좋은 이웃이 되어 어린 소녀를 돕는 대신 가족들이 놀러 가는 동안 며칠 동안 나를 이용했습니다. 가족이 돌아왔을 때 나는 양어머니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말하려고 했습니다. 그녀가 말한 것은 "당신은 관심을 찾고 있었고 그것이 당신이 받을 자격이 있는 것입니다"였습니다.

나는 집 청소에 동의할 정도로 가족의 일원이 되고 싶었다. 양어머니는 친구들에게 항상 나를 '제3국의 흑인 하녀'라고 소개했다. 나의 양어머니는 장애와 피부색 때문에 나를 원하지 않았다고 계속해서 나를 정서적으로 학대했습니다. 그녀는 내가 "너무 어둡고" 치료 약속이 필요한 문제가 있는 아이로 판명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내가 원했던 것은 양어머니가 나를 자랑스러워하게 만드는 것뿐이었지만 나는 그 어느 것도 그녀를 만족시키지 못했습니다. 형제들이 곤경에 처할 때마다 나는 그들을 대신하여 거짓말을 하고 도둑질을 하여 그들이 나와 함께 놀게 하였다. 배고파서 밤에 몰래 먹을 때도 있었는데 걸리면 며칠씩 벽장에 갇혔어요. 내가 한 일은 양어머니에게 충분하지 않았습니다.

11살 때 가족을 떠나 다른 곳에서 며칠을 보낸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내가 뭘 잘못했는지 몰랐어요. 그날 밤 나는 밤새도록 밤을 지새우며 하루를 되돌아보았다. 내가 무엇을 하여 양어머니를 불쾌하게 만들었을까. 그녀가 나에게 말한 것은 내 "흑인의 불구" 행동을 돌볼 수 있는 더 나은 곳으로 갈 것이라는 것뿐이었습니다. 나는 양어머니에게 내가 "착한 여자"가 되어달라고 애원하는 내내 울었다. 4시간 후 나는 계단이 많고 다른 아이들이 거실을 뛰어다니는 큰 석조 집으로 내려갔습니다. 양어머니는 몇 주밖에 지나지 않았으며 가족이 내 행동을 도와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 후 며칠 동안 나는 창가에 앉아 양어머니가 돌아오기를 기다리는 것뿐이었습니다. 며칠이 몇 주가 되고 몇 주가 몇 달이 되었습니다. 나는 결국 내가 이 집에 머물고 있고 아무도 나를 위해 돌아오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아야 했습니다.

나는 25명의 다른 아이들과 함께 집에 살고 있었다. 나는 적응하고 가족의 일부가 되려고 노력했지만 여전히 버림받은 사람처럼 느껴졌습니다. 저만 장애아동은 아니었지만 속해있지 않다고 느꼈습니다. 나는 이 집의 양어머니가 나의 양부모가 베트남에서 나를 입양하도록 도운 여성이라는 것을 알았다. 위탁 어머니는 캐나다와 미국 가족이 자신이 개설한 고아원에서 제3세계 국가의 아이들을 입양하도록 돕는 조직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나는 입양되어 위탁 가정에 보내진 유일한 아이가 아니 었습니다. 수년 동안 위탁가정에서 생활하면서 나는 소심하고 조용한 아이가 되었고 십대 시절에도 여전히 "나는 누구인가"를 알고 싶었습니다. 나는 수양어머니에게 친어머니에 대해 아는 것이 있는지 물었고, 내가 물을 때마다 항상 “열여덟이 될 때까지 기다리십시오”라고 대답했습니다. 그때부터 나는 그 질문을 그냥 내버려두고 집에서 10대 시절을 보내려고 했습니다.

처음 위탁가정에 갔을 때 다른 장애아동들과 함께 학교에 배정을 받았지만 나와는 맞지 않는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나는 독립적이고 혼자 있고 싶었기 때문에 특히 치료 세션 동안 매우 완고했습니다. 치료사가 내 다리를 들어 올리고 스트레칭을 하도록 하는 것은 나에게 효과가 없었고, 그들은 내가 중괄호와 목발을 사용하도록 하려고 했지만, 나는 확실히 그것을 원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그들은 마침내 내가 스포츠 휠체어를 사용하기로 동의했고 내가 느낀 자유!! 휠체어를 사용하면 십대의 팔이 자라났고 쉬는 시간에 매우 강해졌습니다. 다른 아이들이 치료를 받는 동안 나는 체육관에서 농구공을 튀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그때 스포츠 코치가 내가 첫 바구니를 던지는 것을 보고 "운동선수가 되고 싶고 여행을 하고 싶나요?"라고 물었습니다. 나는 그녀에게 “네!”라고 재빨리 대답했습니다. 그녀는 내가 단지 운동선수가 되고 싶은 것이 아니라 가능한 한 많이 위탁가정에서 나갈 수 있도록 여행을 하고 싶어한다는 것을 몰랐습니다. 우리 양아버지는 우리가 여름마다 몬트리올에 있는 집에 갈 때마다 나를 학대했고, 그래서 내가 여름에 여행을 간다는 것을 알 때마다 – 나는 내가 외국에 있을 것이라는 것을 알고 여름을 고대했습니다!

그 스포츠 코치가 없었다면 나는 지금의 패럴림픽 선수가 될 수 없었을 것입니다. 나는 많은 나라를 여행하고 수많은 메달을 땄지만 내 일부는 내가 자격이 없다고 느꼈다. 내가 자리를 비울 때마다 나는 여전히 팀원들과 다른 운동선수들에게 아웃사이더처럼 느껴졌다. 마음속으로 나는 그들이 모두 자신이 누구인지 알고 있으며 항상 가족에 대해 이야기한다고 믿었습니다. 겁이 많은 나는 여전히 팀원들과 소통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모든 여행이 끝날 때마다 집에 가는 것이 무엇인지 알고 있었기 때문에 집에 가는 것이 두려웠습니다.

나의 위탁 가족은 나의 운동 성취를 정말로 인정하지 않았다. 집에 아이들이 너무 많고 양부모가 일로 바빠 내가 일주일 동안 집을 나간 줄도 몰랐을 때도 있었다. 한 번은 첫 대회에서 5개의 금메달을 딴 첫 대회(팀에서 가장 어린 선수)를 마치고 집에 돌아왔을 때 집에 도착했을 때 가방을 들고 현관 앞에 앉아 누군가가 인사하기를 기다렸던 기억이 납니다. 나. 누나가 계단을 내려와서 나를 보았을 때 "도망가세요?" 그 순간부터 내 열정은 내 마음에서 떨어졌고 그냥 도망치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그때부터 성취감 없이, 아무 것도 아닌 것 같은 느낌으로 대회를 계속했습니다.

저는 두 번의 패럴림픽, 두 번의 PanAm 경기 및 많은 소규모 대회에 참가했습니다. 내가 첫 패럴림픽 5개 금메달을 땄을 때, 신문과 인터뷰를 했지만, 쓰여진 말들은 대부분 사실이 아니었습니다. 이야기는 어린 소녀가 그녀를 돌보는 위탁가정에서 메달을 따는 것을 묘사했지만 그들은 진실을 알지 못했습니다.

내가 그들과 함께 있게 해 준 위탁 가족에게 감사하지만, 닫힌 문 뒤에 그들은 많은 아이들을 돕는 완벽한 부부처럼 보이는 자신을 묘사했습니다. 집에 접근할 수 없었고 침실에 가기 위해 계단을 계속 오르락내리락해야 했고, 스쿨버스를 타기 위해 바깥의 돌계단을 오르내리고 의자를 가져와야 했습니다.

평생을 위탁가정에서 지내면서 나는 너무 많이 나가서 혼자 살기를 원했습니다. 16살이 되었을 때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위탁 가정을 떠났습니다. 나는 대학에 가서 경영학 학위를 받았습니다.

평생 동안 나는 항상 사랑받지 못하고 누구에게도 원하지 않는다고 느꼈습니다. 친어머니가 저를 원하지 않고 양어머니가 저를 원하지 않고 위탁 가정에서 저는 그저 '또 다른 아이'일 뿐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나는 옳은 일을 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고, 법을 어긴 적이 한 번도 없었습니다. 저는 항상 제가 어디에도 어울리지 않는다고 느꼈고, 사교 모임에 어려움을 겪고, 또래 어른들과 교류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오늘날까지도 내 많은 부분이 소외감을 느끼고 있고, 원하지도 않고, 무엇보다 내가 진정 누구인지도 모르고 있습니다.

최근에 저는 제 배경을 알기 위해 23&Me에 등록하기로 결정했고 제 주위에 많은 사촌들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멀리 떨어져 있는 가족이 있다는 사실에 놀랐지만 부모님에 대한 정보가 없다는 사실에 실망했습니다. 소속감을 느끼고 싶을 뿐입니다. 자라면서 그런 느낌을 받은 적이 없습니다.

한국어
%%바닥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