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입양일은 상실의 기념일입니다.

한국에서 미국으로 입양된 메리 최 로빈슨.

최순규 입니다.

이 그림에서 그녀는 약 4살이며 최근에 고아가 되어 빈곤의 참화로 병들었습니다.

이 사진이 찍히기 전에 그녀는 전생이 있었고 누군가의 아이였으며, 아마도 다른 이름을 가진 누군가의 딸이었습니다.

이 사진이 나온 지 약 8개월 후인 2월 18일, 그녀는 미국으로 이송되어 새로운 신분과 가족을 갖게 됩니다. 낯설고 무섭고 그녀에게 부과된 새로운 삶. 그녀의 이름은 바뀌고 그녀는 새로운 언어와 문화를 잃게 될 것입니다.

그녀의 세 가지 정체성, 세 가지 삶이 트라우마와 상실감에 시달린다. 그녀는 이제 나이고 나는 그녀가 잃어버린 모든 것에서 매일 살아남습니다.

감사하거나 감사하거나 모든 어린이가 안전하고 사랑스러운 가족과 가정을 가질 자격이 있다고 말하지 마십시오.

대신 내가 이 참을 수 없는 슬픔과 상실감을 매일 안고 있다는 것을 이해하려고 노력하십시오. 더 나쁘지는 않지만 항상 쉽게 표현할 수 없는 다른 슬픔과는 다른 슬픔. 슬픔 나는 애도하는 방법을 확신할 수 없고 아마도 결코 회복되지 않을 것입니다. 그것은 세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어떤 날은 특히 예기치 않게 입양에 의해 눈이 멀었을 때 다른 사람들보다 더 많이 투쟁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제가 미국에 입양/도착한 기념일일 뿐만 아니라, 상실의 기념일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나는 여전히 여기 있고 이 삶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으므로 그것을 축하할 것입니다.

Mary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보려면 그녀의 석사 논문이 다음 위치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ICAV 연구 페이지 – 병행생활: 초국적 한인 입양인의 회고록과 연구.

답글 남기기답장 취소

한국어
%%바닥글%%